2012.6. 27.
주간기술동향 통권 1552 호
포커스
1 창조적 융합기술 R&D인프라 구축 정책 방안
IT기획시리즈
12 4세대 이동통신 기술 현황 및 전망
최신IT동향
23엔터프라이즈 모바일 플랫폼, MDM 에서 MAM 으로 이동
33 450mm 웨이퍼로 전환 준비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업계
38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주도하는 페이스북
41 가트너 10 대 전략 기술, 기업 IT 관리 도구로 흡수 중
포커스
포커스
창조적 융합기술 R&D 인프라 구축 정책 방안
이승관*
융합은 새로운 산업 트렌드로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융합기술의 혁신은 현대 과학기술 혁신의보편적 현상으로자리잡고 있으며, 기업과 대학이혁신주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융합기술을 혁신하기위한 연구개발차원의 정부대책이추진되고 있지만 제도적 차원의 폭넓은 정책개발과 추진은미흡하고 연구개발사업의 추진만으로는 진정한 의미의융합기술혁신을 기 하기 어려운 바, 융합기술혁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융합기술 R&D 인프라 활성화를 위한정책이필요하며, 융합기술 연구개발 인프라 활성화를 통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 는융합기술 연구개발 관련 트렌드를 살펴보고, 향후 융합기술연구 활성화를통한 신성장 동력 기반을조성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한편, 융합기술 연구개발 인프라 활성화방안에대해 기 술하고자 한다.
I. 서론
Ⅰ. 서 론 Ⅱ.융합기술R&D 동향 Ⅲ.융합기술 연구개발 과제 Ⅳ.결 론
* 성남산업진흥재단 생명에너지클러스터파트/ 책임연구원
글로벌 경제는 ‘정보화 시대’를 넘어 기
술과 기술,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결합 등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창출하는 ‘융합의 시대’로 전환 대비가요구된다. 융합화추 세가 가속화되고있는새로운 환경 하에서 기업 차원의 기술혁신이나 경영혁신만으로 는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융합기술 활성화를위한 연구개발 차원의 정부대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제도적 차원의 폭넓은 정책개발과 추진은 연구개발사업의 추진만으 로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기술혁신을 기하기 어렵고, 융합기술혁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융합기술이 개인의 역량, 사회구
조, 국가 시스템 등을 변혁시키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1]. 융합
기술시대의 신산업 창출을 통한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실행력 있는 융합기술 신산업 창조전략을 수립하고[2], 융합기술 발전을 위한 국가ㆍ연구기관ㆍ기업의 참여로 통 합형융합기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 본 고에서는융합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제시 를 통해 창조적 융합기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융합기술 R&D 동향
‘융합기술’은 미래 경제 사회적이슈해결을 위한 다양한 학제 및 이종기술 간의 결합 을 통해 확보되는 혁신기술로 IT, BT, NT, CT, ET, ST 등의 상호의존 결합에 의한 상승 작용의 신제품 서비스를 창출하거나제품성능을 향상시키는기술로 정의가 확대되고, 발 전하고 있다.
융합(Convergence 또는 Fusion)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융합기술은 단지 이런 신기술(NT, BT, IT) 사이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은아니다. 어떤 측면에서는기본에 있던기술 (전통기술)에 새로운 기술이 접목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더 많을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예술, 문화와 새로운 기술이 융합하는경우도 있다[3].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에서는 융합기술을 이종및 동종의 다양한 기술들의 결합까지를포괄하는 개념으로재정의함으로써 경제 사회적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 및 산업과의 결합까지 포함 한다[4].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기술 융합 형태가 다양화되고, 이에 따라 융합기술에 대한 신 축적정의가 필요하다. 융합은 기술끼리의결합, 제품 서비스의 결합(Enabler 측면), 가치의 단순한 부가, 그리고 새로운 가치의 창출(결과측면) 등 4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5].
2011 년 융합기술 연구인프라 활성화와 관련해서 산업 융합 이슈를 다룬 최초의 법률인
<표 1> 융합기술의 유형
유형 가치창출 | 기술기반 융합 (Technology Driven Convergence) | 제품, 서비스 융합 (Market Demand Driven Convergence) |
기존가치제고 (Value-added) | - 기술진화형 융합: 2 개 이상의 기술이 융 합하여 기존 기술에 적용 | - 시장 고도화형 융합: 2 개 이상의 제품, 서비스가 융합하여 기존 시장 확장 |
신 가치창출 (Value-created) | - 돌파 기술형 융합: 2 개 이상의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 극복 | - 신산업 창출 유형: 2 개 이상 제품, 서비 스가 융합하여 신산업 창출 |
포커스
‘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 융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대한제도적 기반이 조성되고 있
는 고무적인 면도있다. 산업융합촉진법의 주요 내용은 융합 신제품 적합성인증으로 융합 신제품에 대한 fast-track 인증을 통해 기준 요건 등이 없어 출시가 지연되는 사례를 방지하고, 산업융합 촉진 옴부즈만을 지정, 활용하여 융합관련 기업 애로를 수시 발굴하여 해결방안을모색하며, 기업지원을 위해 융합 신제품 개발 지원, 산업융합지원센터의 지정, 활용으로 민간전문가, 연구장비, 컨설팅 등을지원하고, 산업융합 인프라 구축을위해범 부처 산업융합발전위원회 설치, 산업융합 특성화 대학(원) 설치 및 지원 근거를 마련하였다. 융합기술개발 관련 조항은 제 4 장 산업융합 촉진의 지원과 활성화 등에 명기되어 있으며융합 신산업의 지원, 산업융합형 연구 개발 활성화 등의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6].
1. 융합기술 R&D 환경변화와 국내외 동향
전세계가 통합된 기조 하에서 유사한 경제적 흐름에 직면하여 있고, 지식원천의 다양 화, 인력 유동성 증가, 기술개발 비용 증가 및 제품 사이클의 단축 등과 같은 변화의 요인
<표 2> 융합기술관련주요국의 R&D 동향
국가 | 융합기술 관련 정부 R&D 정책 동향 |
미국 | Ø『인간수행능력향상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NBIC)』 수립 Ø 미국과학재단(NSF) 등에서 연간 1,300 억 달러 투입 Ø 『미국혁신전략(2009. 8)』의 3 대 중점 분야 중 융합기술은 “국가적 최우선 사항” 분야로 분류 하고 집중 육성 Ø 미국과학재단(NSF) 등에서 연간 1,300 억 달러 투입, 연방정부 연구투자 계획에서 융합기술관련 예산을 중점 편성 - Vision for 2020: Regenerative medicine cross-cutting 프로그램(NSF) 추진 |
일본 | Ø『신산업창조전략(2004 년)』 - 일본경제를 이끄는 7 대 전략산업 선정(2005 년 873 억 엔 투입) * 연료전지, 정보가전, 로봇, 콘텐츠, 건강ㆍ복지 기기 및 서비스, 환경ㆍ에너지 기기 및 서비스,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 Ø『제 3 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6~2010 년)』계획 수립 - 융합 분야를 ‘전략적 정책대응 연구부분’으로 분류하고 타 분야 기술을 융합한 프로젝트 추진 - NT, BT, IT, ET 등 4 대 전략 분야 및 융합기술 분야에 중점 |
EU | Ø『지식사회를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CTEKS, 2004 년)』 * CTEKS: Converging Technologies for the European Knowledge Society - EU FP7(Framework Program)(2007~2013 년)을 통해 7 년간 678 억 유로 투입 - 보건, 바이오, IT 기술, 나노 및 소재, 사회경제 및 인문학 등 9 개 중점 분야 연구 진행(인문사회 학과 과학기술의 융합 포함) Ø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바이오, 나노와의 융합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BIO-ICT 프로그램, Micro- Nano-Bio 융합시스템 프로그램 지원 Ø대표적인 연구개발 프로그램 - Knowledge NBIC Project(2006~2009) - 인간 친화적 관점의 유비쿼터스 융합기술 개발 프로그램(i2010&IST) |
은 R&D 방법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7].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1980 년대 후
반부터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법적제도적기반을마련하여 기업 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2002 년에 ‘인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기술전략(NBIC
2002)’을 마련한 바 있다. 이것은 4 개의 핵심 기술인 나노(Nano), 바이오(Bio), 정보통신 (Info), 인지과학(Cogno)을 바탕으로 이른바 NBIC 융합기술 틀을도출하였다. 일본은 과 학기술은 일본의산업경쟁력 강화에 직결됨과 동시에국민생활 향상과 국제 정치외교의 리더십을 지속시킴으로써 일본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세계 최고의 융합 분야 추 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8], 일본의 ‘제 3 기과학기술기본계획(2006~2010)’에서 NT, BT, IT, ET 등 4 대 전략 분야 및 융합기술 분야에 중점 투자 계획을 세워 추진중이 다. 유럽연합(EU)은 융합기술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Knowledge NBIC Project(2006~2009)를 추진중이며, 범유럽 차원에서 추진되는 FP7(2008~2013)에서 융합기술 개발을 확대하고학제간 연구를 강화하고있다. 미국은 NT 주도의융합기술정책을 추진하고있고, 유럽은 과학기술과 사회과학, 인문학의 융합을 강조하며, 일본은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융합연구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융합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투자 중 원천융합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부문에서 그리고 산업 고도화 부문과 융합신산업 발굴ㆍ지원 강화 부문에서 비중이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면에서는 원천융합기술 조기 확보, 융합 신산업발굴ㆍ지원, 융합기술 기반 산업 고도화, 융합기술 전문인력양성, 개방형 공동연구 강화 등 융합기술개발 정책을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NBIT 정책은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국가융합기술지 도를 수립하였으며, 2020 년까지 육성이 필요한 3 대 융합 분야, 15 개 우선추진과제, 70 개 융합기술군 도출 및 거시적 육성전략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융합기술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융합연구 진흥을 위한 부서의 설치를비롯하여 융합연구개발사업 등정책을추진하고 있다. 국가 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NBIC 기반 국가융합기술지도 를 수립하여 국가융합기술 R&D 투자의 정책 방향 설정 및 부처별 사업간 연구수행에 대 한 우선순위 등에 활용한다. NBIC융합기술지도를 작성하여 2020 년까지 국가적으로 육성해야 할 융합기술의 추진 목표 및 거시적 방향을 마련하고 국가 융합기술개발 추진전략 수립 및 정책 방향설정에활용하고 있다. 미래선도원천융합기술발굴 및 선택과 집중을 통한 육성전략을 위해 NBIC 국가융합기술지도를 수립하였다.
'주간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적 융합기술 R&D인프라 구축 정책 방안 (490) | 2012.07.01 |
---|---|
주간 IT산업 주요 이슈 (2012-26호) (0) | 2012.07.01 |
[ITFIND]주간기술동향-2012-06-13.1550.pdf (0) | 2012.06.25 |
모바일 웹 앱을 위한 HTML5 및 프레임워크 동향.pdf (1) | 2012.06.14 |
소셜미디어의 힘 잠자리 효과(The Dragonfly Effect) (0) | 201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