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10에 Mac OS X Leopard 설치하기.
11 8, 2008 10:02
현재 나와있는 Atom CPU 를 사용하는 넷북은 대부분 별다른 어려움 없이 OS X 를 설치하는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ODD 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조금의 삽질이 필요하다.
따라서 설치의 방법은 두가지의 경우로 해볼 수 있다.
우선 Acronis Diskdirector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OS X 용 파티션을 적절한 크기로 만든다.
그리고 그 파티션을 Active로 만들어주고 진행을 하면 되는데, 이후엔 바로 XP 로는 부팅할 수 없다.
복잡하게 명령어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없이 간단하게 다시 XP 를 부팅으로 만드는 것은 부팅 하자마자 F4 를 연타하면 복구모드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복구를 약간 구경 해주다 돌아오면 된다.
첫번째 외장 ODD를 이용하는 방법.
이건 뭐...
이미지 구워서 DVD에 넣고 부팅 옵션에서 외부 DVD로 부팅 해주고 슬슬 설치하면 된다.
외장 ODD가 있을 경우엔 별 다른 삽질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외장 ODD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급조해서 만들어도 된다.
3.5인치 SATA 이용하는 외장 드라이브가 있을 경우 컴에 달려있는 SATA DVD 드라이브를 잠시 빼서 붙여 쓰면 된다.
두번째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기.
이것도 저것도 없을 때...
편하게 할려면 그냥 외장 ODD를 하나 지르면 된다.
그러나 지금 당장 설치 해보고 싶고, 돈 없고, 그닥 쓸일도 없는 외장 ODD사는 것이 꺼려진다면...
또 방법이 있다.
여기서도 리얼맥 또는 이미 OS X 이 설치된 컴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뉜다.
자 이제 설치할 준비는 모두 끝났으니 본격적인 설치로 들어가자.
설치 OS X 이미지는 iDeneb 1.3 10.5.5 이미지를 이용했다.
이곳에서 '사용자화' 버튼을 누른다.
외장 하드에 설치하고 있는 경우엔 '설치 위치 변경...' 버튼을 눌러서 외장 하드로 위치를 변경 시켜 준다.
이제 이곳에서 각종 옵션들을 선택해 줘야 한다.
우선 '언어번역' 부분에서 한글을 선택해 줘야 설치가 끝난 후에 한글 메뉴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서체', 가장 아래의 'Applecations' 두가지는 체크 해 주고 나머지 옵션들을 고르도록 한다.
Patches 를 풀어서 이곳에서 딱 필요한것들만 체크해서 일단 넘어가도록.
Audio : AppleAzaliaAudio
Chipset : ICHx Fixed
Kernel : Kernel 9.4.0 StageXNU
Fix : PowerManagement, PowerOff_Fix
Video : Intel -> Intel GMA950
이렇게만 선택 하고 설치를 눌러준다.
설치가 끝나고 리붓 하면 음악 소리가 띵가띵가 나믄서 이거저거 입력하라고 한다.
알아서 이래저래 입력 하고 넘어가 주시고...
일단 첫 화면이 어째 좀 구려보인다.
원인은 GMA950 드라이버가 제대로 해상도를 못잡아 주셔서 그렇다.
외장 하드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위치를 반드시 외장 디스크로 바꿔줘야 한다.
그리고 시스템 환경설정 -> 다국어 들어가서 한글을 젤 위로 끌어올려주고 나서 리붓해 보면...
(외장 디스크로 설치중엔 다시 외장디스크로 부팅 하시길...)
드디어~
설치된 화면이 나타난다.
리붓 시에 숫자 카운터가 나타날때 아무 키나 누르면 하드디스크내의 다른 파티션들도 보이므로 XP 로 부팅하고 싶다면 그 파티션을 선택해 주면 된다.
외장 하드에다 설치하고 있는 경우는 마지막 한단계가 더 남았다.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다시 디스크유틸리티를 열어서 복원 탭으로 이동한다.
이번엔 처음과의 역으로 타겟을 내장 하드의 OS X 을 구동시키고 싶은 파티션을 선택, 소스를 외장 하드를 선택해 준다.
그리고 복원을 누르면 내부의 하드로 죽~ 복사가 되고...
복원이 끝나고 나면
카멜레온 부트로더를 설치해 주도록 한다.
요건 실행 하고 반드시 설치 경로를 내장 하드의 파티션으로 선택해 주도록 한다.
만일 XP 의 부트로더를 이용해서 멀티부팅을 하고 싶다면, chain0 파일을 이용해서 하면 된다.
이때는 XP 가 설치된 파티션을 다시 Active 로 만들어줘야 한다.
멀티부팅에 관한 것은 Grub 같은 부트로더를 이용 하거나, Acronis OS Selecter 를 이용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검색해서 익혀보시길...
설치를 해보면 일단 거의 모든것들이 잘 돌아간다.
아무런 설정 없이도 내장된 카메라, 블루투스는 잘 동작한다.
다만 마이크와 네트웍이 전혀 안된다.
마이크 부분은 어쩔수 없지만, 블루투스를 이용 하거나 USB 오디오를 사용해서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유선은 답이 없다.
무선은 뒷판 열고 Dell 1390 같은걸로 갈아 주거나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USB 방식의 네트웍 어뎁터를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잠자기문제가 좀 있는데...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선 잠자기가 안된다.
재워보면 바로 다시 깨어난다.
그런데 전원을 뽑고 시도하면 그냥 잘 잔다.
Fn 버튼을 이용한 펑션키는 몇가지만 동작한다.
Esc 키의 잠자기, F6 음소거, F10 터치패드, F11 숫자키 고정, 좌우방향키로 볼륨조정
따라서 무선랜은 못끈다.
미리 XP 에서 끄고 들어와야 할듯.
* 바이오스를 최신으로 업뎃을 해주면 OS X 에서도 베터리 타임이 정확하게 표현이 된다.
하지만 ODD 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조금의 삽질이 필요하다.
따라서 설치의 방법은 두가지의 경우로 해볼 수 있다.
우선 Acronis Diskdirector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OS X 용 파티션을 적절한 크기로 만든다.
그리고 그 파티션을 Active로 만들어주고 진행을 하면 되는데, 이후엔 바로 XP 로는 부팅할 수 없다.
복잡하게 명령어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없이 간단하게 다시 XP 를 부팅으로 만드는 것은 부팅 하자마자 F4 를 연타하면 복구모드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복구를 약간 구경 해주다 돌아오면 된다.
첫번째 외장 ODD를 이용하는 방법.
이건 뭐...
이미지 구워서 DVD에 넣고 부팅 옵션에서 외부 DVD로 부팅 해주고 슬슬 설치하면 된다.
외장 ODD가 있을 경우엔 별 다른 삽질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외장 ODD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급조해서 만들어도 된다.
3.5인치 SATA 이용하는 외장 드라이브가 있을 경우 컴에 달려있는 SATA DVD 드라이브를 잠시 빼서 붙여 쓰면 된다.
두번째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기.
이것도 저것도 없을 때...
편하게 할려면 그냥 외장 ODD를 하나 지르면 된다.
그러나 지금 당장 설치 해보고 싶고, 돈 없고, 그닥 쓸일도 없는 외장 ODD사는 것이 꺼려진다면...
또 방법이 있다.
여기서도 리얼맥 또는 이미 OS X 이 설치된 컴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뉜다.
1. Mac OS X 가 설치된 컴이 있는 경우.
일단 외장 USB 드라이브 또는 8기가 이상의 부팅 가능한 USB 메모리를 준비한다.
여기서도 설치 DVD 이미지를 바로 복사하는 방법과 외장 드라이브에 OS X 를 설치 해서 복원하는 두가지 방법을 써볼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를 바로 복사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웬지 부팅이 잘 안된다.
부팅 시키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요상한 삽질을 요하므로 그냥 외장 하드에다 설치해서 하시길 권해 드린다.
일단 OS X 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파티션 부터 만들도록 한다.
이제 파티션은 준비가 되었다.
다음으로 OS X 설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되는데...
DVD 이미지에서 설치 아이콘 누르면 리붓 하라는 말만 뜬다.
이거 어쩌나...
다 방법이 있다.
일단 파인더를 띄워서 파인더 메뉴가 나타나도록 만든다.
이 폴더는 숨김 속성이라서 파인더에서 그냥 보이지는 않고 이렇게 이동을 해야 들어 갈 수 있다.
그러면 Installation 과 Library 두가지의 폴더가 나타나며, Installation/Packages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OSInstall.mpkg 파일을 실행 시키면 OS X 의 설치 화면을 볼수 있다.
이후는 일단 아래의 설치 과정을 진행 시킨다.
2. NC10만 덜렁 있는 경우.
이것도 저것도 없을 때...
미친 맥에 가면 역시 답이 있다.
얘들 밥먹고 이거만 하나봐...
그런데 차라리 이 방법이 제일 간단하다.
(사실 귀찮아서 직접 실행은 안해봤지만 충분히 쉽고 될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http://forum.insanelymac.com/index.php?showtopic=110388
위 주소에서 Leopard HD install helper 0.3 을 받는다.
맥용 파티션을 적당하게 맹글고 별도의 하드디스크 공간 약 6~8GByte 정도를 나눠서 FAT32 로 포멧 한다.
이 작은 파티션에 DVD 이미지를 밀어 넣을 것이므로 그만큼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파티션 나누는 방법은 Acronis Disk Director Suite 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맥을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만드는 방법은 여기저기 널려있으며, http://x86osx.com 가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받아둔 압축 파일을 풀어보면 ddmac.exe 파일이 있다.
요걸 실행 하면 중국어라서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같이 포함된 English_GUI.png 를 열어서 도움을 좀 받도록 한다.
ISO 이미지는 설치 할 OS X 이미지, 타겟은 물론 OS X 을 설치할 파티션으로 선택 한다.
복사가 모두 끝나고 나서 리붓 시키면 DVD 이미지를 넣어둔 파티션을 선택 할수 있으므로 그 파티션으로 선택 해서 설치를 시작하면 된다.
일단 외장 USB 드라이브 또는 8기가 이상의 부팅 가능한 USB 메모리를 준비한다.
여기서도 설치 DVD 이미지를 바로 복사하는 방법과 외장 드라이브에 OS X 를 설치 해서 복원하는 두가지 방법을 써볼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를 바로 복사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웬지 부팅이 잘 안된다.
부팅 시키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요상한 삽질을 요하므로 그냥 외장 하드에다 설치해서 하시길 권해 드린다.
일단 OS X 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파티션 부터 만들도록 한다.
이제 파티션은 준비가 되었다.
다음으로 OS X 설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되는데...
DVD 이미지에서 설치 아이콘 누르면 리붓 하라는 말만 뜬다.
이거 어쩌나...
다 방법이 있다.
일단 파인더를 띄워서 파인더 메뉴가 나타나도록 만든다.
이 폴더는 숨김 속성이라서 파인더에서 그냥 보이지는 않고 이렇게 이동을 해야 들어 갈 수 있다.
그러면 Installation 과 Library 두가지의 폴더가 나타나며, Installation/Packages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OSInstall.mpkg 파일을 실행 시키면 OS X 의 설치 화면을 볼수 있다.
이후는 일단 아래의 설치 과정을 진행 시킨다.
2. NC10만 덜렁 있는 경우.
이것도 저것도 없을 때...
미친 맥에 가면 역시 답이 있다.
얘들 밥먹고 이거만 하나봐...
그런데 차라리 이 방법이 제일 간단하다.
(사실 귀찮아서 직접 실행은 안해봤지만 충분히 쉽고 될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http://forum.insanelymac.com/index.php?showtopic=110388
위 주소에서 Leopard HD install helper 0.3 을 받는다.
맥용 파티션을 적당하게 맹글고 별도의 하드디스크 공간 약 6~8GByte 정도를 나눠서 FAT32 로 포멧 한다.
이 작은 파티션에 DVD 이미지를 밀어 넣을 것이므로 그만큼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파티션 나누는 방법은 Acronis Disk Director Suite 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맥을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만드는 방법은 여기저기 널려있으며, http://x86osx.com 가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받아둔 압축 파일을 풀어보면 ddmac.exe 파일이 있다.
요걸 실행 하면 중국어라서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같이 포함된 English_GUI.png 를 열어서 도움을 좀 받도록 한다.
ISO 이미지는 설치 할 OS X 이미지, 타겟은 물론 OS X 을 설치할 파티션으로 선택 한다.
복사가 모두 끝나고 나서 리붓 시키면 DVD 이미지를 넣어둔 파티션을 선택 할수 있으므로 그 파티션으로 선택 해서 설치를 시작하면 된다.
자 이제 설치할 준비는 모두 끝났으니 본격적인 설치로 들어가자.
설치 OS X 이미지는 iDeneb 1.3 10.5.5 이미지를 이용했다.
이곳에서 '사용자화' 버튼을 누른다.
외장 하드에 설치하고 있는 경우엔 '설치 위치 변경...' 버튼을 눌러서 외장 하드로 위치를 변경 시켜 준다.
이제 이곳에서 각종 옵션들을 선택해 줘야 한다.
우선 '언어번역' 부분에서 한글을 선택해 줘야 설치가 끝난 후에 한글 메뉴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서체', 가장 아래의 'Applecations' 두가지는 체크 해 주고 나머지 옵션들을 고르도록 한다.
Patches 를 풀어서 이곳에서 딱 필요한것들만 체크해서 일단 넘어가도록.
Audio : AppleAzaliaAudio
Chipset : ICHx Fixed
Kernel : Kernel 9.4.0 StageXNU
Fix : PowerManagement, PowerOff_Fix
Video : Intel -> Intel GMA950
이렇게만 선택 하고 설치를 눌러준다.
설치가 끝나고 리붓 하면 음악 소리가 띵가띵가 나믄서 이거저거 입력하라고 한다.
알아서 이래저래 입력 하고 넘어가 주시고...
일단 첫 화면이 어째 좀 구려보인다.
원인은 GMA950 드라이버가 제대로 해상도를 못잡아 주셔서 그렇다.
GMA950.pkg.zip
-> 이놈을 다운 받아서 설치 해 주도록 한다.1024*600 패치가 된 드라이버.
외장 하드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위치를 반드시 외장 디스크로 바꿔줘야 한다.
그리고 시스템 환경설정 -> 다국어 들어가서 한글을 젤 위로 끌어올려주고 나서 리붓해 보면...
(외장 디스크로 설치중엔 다시 외장디스크로 부팅 하시길...)
드디어~
설치된 화면이 나타난다.
리붓 시에 숫자 카운터가 나타날때 아무 키나 누르면 하드디스크내의 다른 파티션들도 보이므로 XP 로 부팅하고 싶다면 그 파티션을 선택해 주면 된다.
외장 하드에다 설치하고 있는 경우는 마지막 한단계가 더 남았다.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다시 디스크유틸리티를 열어서 복원 탭으로 이동한다.
이번엔 처음과의 역으로 타겟을 내장 하드의 OS X 을 구동시키고 싶은 파티션을 선택, 소스를 외장 하드를 선택해 준다.
그리고 복원을 누르면 내부의 하드로 죽~ 복사가 되고...
복원이 끝나고 나면
카멜레온 부트로더를 설치해 주도록 한다.
요건 실행 하고 반드시 설치 경로를 내장 하드의 파티션으로 선택해 주도록 한다.
만일 XP 의 부트로더를 이용해서 멀티부팅을 하고 싶다면, chain0 파일을 이용해서 하면 된다.
이때는 XP 가 설치된 파티션을 다시 Active 로 만들어줘야 한다.
멀티부팅에 관한 것은 Grub 같은 부트로더를 이용 하거나, Acronis OS Selecter 를 이용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검색해서 익혀보시길...
설치를 해보면 일단 거의 모든것들이 잘 돌아간다.
아무런 설정 없이도 내장된 카메라, 블루투스는 잘 동작한다.
다만 마이크와 네트웍이 전혀 안된다.
마이크 부분은 어쩔수 없지만, 블루투스를 이용 하거나 USB 오디오를 사용해서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유선은 답이 없다.
무선은 뒷판 열고 Dell 1390 같은걸로 갈아 주거나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USB 방식의 네트웍 어뎁터를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잠자기문제가 좀 있는데...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선 잠자기가 안된다.
재워보면 바로 다시 깨어난다.
그런데 전원을 뽑고 시도하면 그냥 잘 잔다.
Fn 버튼을 이용한 펑션키는 몇가지만 동작한다.
Esc 키의 잠자기, F6 음소거, F10 터치패드, F11 숫자키 고정, 좌우방향키로 볼륨조정
따라서 무선랜은 못끈다.
미리 XP 에서 끄고 들어와야 할듯.
* 바이오스를 최신으로 업뎃을 해주면 OS X 에서도 베터리 타임이 정확하게 표현이 된다.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Win에서도 MySQL 리버스엔지니어링이 가능합니다. (0) | 2008.12.23 |
---|---|
How to Send SMS Messages from a Computer / PC? (0) | 2008.12.18 |
Hack Attack : Install Leopard on your PC in 3 easy steps! (0) | 2008.12.11 |
smartclient 스마트 클라이언트 강좌 (0) | 2008.12.05 |
아파치에 ClickOnce로 배포하기 (0) | 200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