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S 서버의 개념 이해 ]
[ Windows XP Professional에 네임 서버(BIND9) 구축하기 ]
1. ns.jobdahan.dnip.net으로 서비스 받기
2. 네임서버 구축 환경 설명
3. Windows용 DNS 서버 소프트웨어 BIND9.4.0 다운받기
4. BIND9 설치하기
5. BIND9 설정 파일 만들기
6. BIND9 동작 테스트
7. BIND9의 named 데몬을 서비스에 등록하기
8.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의 DNS 서버관리
이번 강좌 차례는 위 목차의 2~4 까지 입니다.
[ XP에서도 DNS 서버를 돌려보자! (2) - 구축환경, BIND9 설치하기 ]
2. 네임서버 구축 환경 설명
현재 네임서버를 구축하려고 하는 모든 환경을 잘 이해하고 있으셔야 BIND9의 설정을 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와 같은 환경에서 BIND9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니 자신의 환경과 비교하여
각 사항들을 자신의 환경과 맞게 작성하여 메모해 놓은 후 실제로 네임서버를 구축할 때에
그 메모를 보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인터넷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정에서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공유기에 연결된 PC(운영체제 : Windows XP Professional)에 지금까지 강좌에서 설명한 서버들
(Apache 웹 서버, MySQL, Hub FTP 서버)이 구축되어 있고,
여기에 윈도우용 BIND9.4.0을 이용하여 DNS 서버를 구축할 것입니다.
2) 외부 인터넷 연결 IP 주소 : 210.95.205.15
3) 공유기에 연결된 서버 구축 PC의 내부 IP 주소 : 192.168.2.12
[주의] 이 IP 주소는 필히 공유기에서 DMZ 설정이나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되어 있어야 합니다.
DMZ 설정에 관한 것은 강좌 “서버의 포트변경 설정과 DMZ 설정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할 경우 192.168.2.12 의 IP 주소에 21, 53, 80(21:FTP, 53:DNS, 80:HTTP) 포트를
포워딩 설정하십시오. 만약 포트 포워딩만 해서 동작이 잘 된다면 DMZ보다는 포트 포워딩을 하시기 바랍니다.
메일에 관한 포트는 나중에 메일 서버를 구축할 경우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4)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네임서버 도메인 : ns.jobdahan.dnip.net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의 환경]
1) 외부 인터넷 연결 IP 주소 : 210.95.205.15
2) 서버 구축 PC의 IP 주소 : 210.95.205.15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DMZ라든지 포트 포워딩과는 무관하겠지요?
앞으로의 설명 중 192.168.2.12는 모두 210.95.205.15로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네임서버를 구축하는 동안은 내부 IP 주소로 설정할 곳은 없고 이 후 강좌인 Virtual Hosting할 때 필요합니다.)
3)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네임서버 도메인 : ns.jobdahan.dnip.net
5) DNS 서버(BIND9)를 구축하여 생성할 서브 도메인 명
:www.jobdahan.dnip.net(jobdahan.dnip.net), mail.jobdahan.dnip.net, ftp.jobdahan.dnip.net,
shop.jobdahan.dnip.net 등등
3. Windows용 DNS 서버 소프트웨어 BIND9.4.0 다운받기
BIND9은 ISC(http://www.isc.org)에서 배포하고 있으므로 그 사이트에 접속해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만
이 곳에서 직접 다운 받을 수 있게 링크해 놓겠습니다.
그러나, 한 번쯤 그 사이트를 방문하여 최근 소프트웨어를 확인하고 주의사항 등도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BIND9.4.0 다운로드 링크 : http://ftp.isc.org/isc/bind9/9.4.0/BIND9.4.0.zip
2007.05.07 현재 날짜로는 BIND9.4.1 이 배포되고 있네요.
BIND9.4.1 다운로드 링크 : http://ftp.isc.org/isc/bind9/9.4.1/BIND9.4.1.zip
다운받은 BIND9.4.0.zip 파일을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놓습니다.
C:\APM_Setup\temp\ 디렉터리에 다운받아 그 곳에 압축을 풀어 놓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4. BIND9 설치하기
1) 압축을 풀어놓은 C:\APM_Setup\temp\BIND9.4.0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 중
BINDInstall.exe를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면 [BIND 9 Installer] 창이 열립니다.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입력상자에 입력합니다.
Target Directory : BIND9을 설치할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곳으로써,
여기에서는 C:\APM_Setup\Server\DNS라는 디렉터리에 설치하기로 합니다.
Service Account Name : 서비스 계정 이름으로, 우선은 named 그 대로 사용합니다.
Service Account Password : 적당한 서비스 계정 암호를 입력합니다.
Confirm Service Account Password : 서비스 계정 암호 확인을 위한 재입력
Options의 Start BIND Service After Install : 이 항목만 체크를 하지 않습니다.
구동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이 아직 없는 상태이므로 설치가 끝난 후에 곧 바로 BIND를 시작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입력을 다 했으면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2) C:\APM_Setup\Server\ 디렉터리의 하위에 DNS라는 디렉터리가 아직 없으므로 만들 것인지 묻는 창이 나오면
[예(Y)]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진행된 후 끝났다는 대화창이 열리면 [확인] 버튼을 누르고,
Install 창의 아래 부분의 Progress 내용을 참고만 하고 Install 창의 [Exit] 버튼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탐색기를 열어 C:\APM_Setup\Server\DNS\ 디렉터리를 확인해 봅니다.
bin 디렉터리에는 실행 파일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etc 디렉터리에는 현재 아무 파일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디렉터리에 설정 파일들을 작성하여 넣을 것입니다.
자, 이 것으로써 일단 BIND9의 설치 작업은 끝났습니다.
설치는 되어 있지만 BIND9의 구동을 위한 설정 파일들이 아직 없으므로 실행을 시킨다고 해도 아무 의미가 없겠지요?
지금까지
2. 네임서버 구축 환경 설명
3. Windows용 DNS 서버 소프트웨어 BIND9.4.0 다운받기
4. BIND9 설치하기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5. BIND9 설정 파일 만들기
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의 분량이 너무 많네요. A4 용지로 8쪽이나 됩니다.
1) 윈도우 시스템 변수의 Path 지정
2) rndc.key, rndc.conf 파일 생성
3) named.conf 파일 만들기
4) named.ca, localhost.zone, named.local 파일 만들기
5) jobdahan.dnip.net.zone 파일 만들기
어쩔 수 없이 나누어서 글을 올릴 생각입니다.
[출처] XP에서도 DNS 서버를 돌려보자! (2)|작성자 정신차렷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client 스마트 클라이언트 강좌 (0) | 2008.12.05 |
---|---|
아파치에 ClickOnce로 배포하기 (0) | 2008.12.05 |
정보보안 :: XP에서도 DNS 서버를 돌려보자! [1] (0) | 2008.12.04 |
프로그래밍... Oracle 10g XE (0) | 2008.12.01 |
phpmyadmin 설치하기 (0) | 200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