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의 활용


[1] PIC의 메모리 구조

1. 
PIC의 메모리 구조
2. 
PIC의 프로그람메모리의 구조
3. 
PIC의 데이타메모리의 구조 (간접 애드레싱)
4. 
PIC의 스탁크메모리의 구조
5. 
PIC의 EEPROM 메모리의 구조

[2] 내장 모듈의 사용법

1. 
클락 발진 회로
2. 
리셋트 회로
3. 
새치기의 사용법
4. 
입출력 포토의 사용법
5. 패러렐 슬레이브 포토의 사용법
6. 
타이머 0의 사용법(인터벌 타이머)
7. 
타이머 0의 사용법(카운터)
8. 
타이머 1의 사용법
9.
타이머 2의 사용법
10. CCP 모듈의 사용법(Capture/Compare)
11.
CCP 모듈의 PWM 모드에서의 사용법
12. SPI 통신의 사용법
13.
USA RT의 사용법
14.
A/D변환의 사용법(8비트)
15.
A/D변환의 사용법(10비트)
16.
watch dog timer의 사용법
17. sleep 모드의 사용법


[3] PIC16F87x 시리즈

1.
PIC16F87x의 특징과 사용상의 주의 
2.
라이터의 사용법 
3.
액정 표시기용 C언어 라이브러리
4.
A/D변환의 사용법
5.
타이머 1의 사용법
6.
프로그램 EEPROM에의 Read/Write의 방

[4] 실용 프로그래밍 테크닉

  1.
키 입력의 처리법(chattering 회피)
   2.
펄스 입력의 취급 방법(샘플링)
   3.
펄스 출력의 방법
   4.
지연 시간을 만드는 방법(사이클의 세는 방법)
   5.
타이머의 사용법
   6.
세치기의 기초
   7. 간이 A/D변환 제어법(볼륨의 입력)
   8.
액정 표시기의 제어법
   9. 다이나믹 표시 제어법
   10.
PC와의 패러렐 통신 접속

   ★
PIC의 사용법의 「요령」

[5] PIC 활용 제작예

   여기에서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PIC 시리즈를 활용한
   전자 공작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44. 정전압, 정전류 전원  

실험실 레벨의 최대 12 V 1 A의 정전압 전류 전원입니다.
전압, 전류의 표시계에 PIC를 사용했습니다.

   43. PIC에 의한 AC파워 콘트롤러(소프트웨어편) 

PIC로 제로 크로스 제어와 위상 제어를 실시합니다.

   42. PIC에 의한 AC파워 콘트롤러(하드웨어편) 
AC100V의 위상 제어에 의한 파워 컨트롤을 PIC로 제어한 유니트입니다.
PC와 시리얼 통신으로 접속해 리모트 콘트롤도 가능합니다.

   41. USB 접속의 8자리수 주파수 카운터(소프트웨어편)   

역시 PICROS를 사용한 작품으로, 8자리수 100 MHz의 주파수 카운터입니다.
PC와 USB로 접속해 장기간의 주파수 변화를 그래프에 할 수 있습니다

   41. USB 접속의 8자리수 주파수 카운터(하드웨어편)  

CPLD를 사용한 주파수 카운터 블록과 PIC를 편성, 한층 더
USB 콘트롤러를 사용해 PC와 USB로 접속해 컨트롤
할 수가 있습니다. 8자리수로 100 MHz까지 카운트 할 수 있습니다.

   40. USB 접속의 디지탈 멀티 미터(소프트웨어편)  

PICROS를 사용한 작품으로,4-1/2자리수의 디지탈 멀티 미터입니다.
PC와는 USB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도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39. USB 접속의 디지탈 멀티 미터(하드웨어편)  

마이크로칩사의4-1/2자리수의 A/D변환기를 사용한 멀티 미터로
전압 100μV, 전류 100μA의 분해가능이 있습니다.
PC와 USB로 접속해 데이터 수집을 할 수 있습니다.
PIC의 프로그램을 PICROS를 사용해 멀티태스킹화하고 있습니다.

   38. CPLD와 PIC에 의한 시그널 제네레이터 

CPLD로 제작한 100 nsec에서 1 sec의 펄스 발신 블록과 PIC를
접속한 시그널 제네레이터입니다. 한층 더 USB로 PC와 접속
해 리모콘을 할 수 있습니다.

   37. USB 접속 범용 I/O유니트 

PIC16F877를 USB로 접속해, PC로부터 PIC의 입출력 포토를 제어
할 수 있도록(듯이) 한 것으로, 입출력 설정, 입출력을 비트마다 제어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액정 표시기를 접속하는 일도 가능해, PC로부터 메세지를
출력할 수가 있습니다.

   36. USB 인터페이스의 계측 로가-유니트  

PIC16F876에 USBN9603를 접속해, PC와 USB 접속으로
통신을 실시하면서, 4 채널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유니트입니다.

   35. DDS와 PIC를 사용한 주파수 특성 측정기(PC의 SW편)

청소부의 PC가 원의 소프트웨어의 소개입니다.
Visual Basic6. 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4. DDS와 PIC를 사용한 주파수 특성 측정기(PIC의 SW편)

청소부의 PIC측의 것의 소프트웨어의 소개입니다.
PIC측은 CCS의 C컴파일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3. DDS와 PIC를 사용한 주파수 특성 측정기(HW편) 

DDS로 정현파를 출력해, 로그 앰프로 레벨 측정을 해, PIC로 그 데이터
(을)를 액정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PC에 시리얼 통신으로 전송 해
PC의 소프트로 주파수 특성으로서 표시합니다. 10~10 MHz의 범위를
+20 dB~-60 dB의 레벨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32. CPLD와 PIC를 사용한 저주파 발진기 

CPLD로 다이렉트 디지탈 신디사이저를 구성해, 그것을 PIC로
제어하는 것으로, PC로부터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리모트
컨트롤 가능한 저주파 발진기입니다.

   31. CPLD와 PIC를 사용한 8자리수 주파수 카운터

주파수 카운터부에 Xilinx사의 CPLD를 사용한 8자리수의 고성능
주파수 카운터입니다. 설계상은 85 MHz까지 동작 가능합니다.

   30. 범용 8자리수 주파수 카운터 

PIC를 사용한 세그먼트(segment) 발광 다이오드 표시의 8자리수의 주파수
카운터입니다. PIC16F84A과 PIC16F873의 2개의 PIC를 사용해 있습니다.

   29. 무선 모듈 응용 무선조종

시판의 315 MHz의 무선 송수신 모듈을 사용한 무선조종
자동차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상당히 안정에 조종 할 수 있습니다.

   28. Music Display No1 

조금 바뀐 이름으로 했습니다만, 소형 액정 TV 화면에
음악에 맞추어 색을 춤추게 하려고 생각한 것입니다.
저음, 중음, 고음을 각각 적, 초록, 파랑에 대응시켜, 소리의
크기를 표시시킨 것입니다.
음악을 들으면서, 본다고도 없게 화면을 바라보고 즐깁니다.

   27. PIC16F877 응용 NiCd 배터리 충방전기

최대 6개의 NiCd 배터리의 전압을 보면서 자동적으로 충전과
방전을 실시해 최적인 충전을 제어합니다. 1개씩 독립에 제어
하므로 최선 상태로 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26. PIC16F87x용 PIC 라이터 어댑터

최신의 PIC 팁 PIC16F87x 시리즈에 기입하기 위한
기존 PIC 라이터용의 소켓 어댑터입니다.
아키즈키제 시리얼 라이터의 어댑터로서 제작했습니다.

   25. 리모트 계측 로가-유니트

PIC16C73에 32 K아르바이트의 SRAM를 접속해 계측 데이터의
기록을 해, 시리얼 통신으로 PC와 접속을 할 수 있는 유니트
입니다. 4 채널의 데이터를 8000회 기록할 수 있습니다.

   24. 타이머 제어 기능 다하고 시계

PIC16F84와 액정 표시기에 의한 시계입니다.
타이머 기능에 의해 2 채널의 AC전원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타이머 프로그램은 최대 9개까지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23. PC용 온도계

PIC16C711를 사용한 2 채널의 온도계측계입니다.
이번은 PC에 짜넣었습니다만 범용입니다.

   22. 모터 제어용 콘트롤러

각종의 모터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범용의 콘트롤러입니다.
PIC16C7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1. 모터 제어 테스트 벤치

PIC로 모터 제어의 실험을 할 때에, 부하가 되는 모터와
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류를 일체화한 테스트
용벤치입니다.

   20. 광선총에 의한 빨리 쏘기 게임

PIC를 활용한 게임입니다. 일순간의 빛의 플래시를
검출하는 공작입니다.
광선총에 의한 빨리 쏘기 게임(하드웨어편)
광선총에 의한 빨리 쏘기 게임(소프트웨어편)

   19. 전자 룰렛의 게임

PIC 활용으로서는 기본적인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 제어
(을)를 사용한 게임입니다.
전자 룰렛 하드웨어편
전자 룰렛 소프트웨어편

   18. PIC 라이터의 제작

PIC 라이터로서는 기본적인 프린터 인터페이스
에 접속하는 타입의 제작예입니다.
구멍 뚫린 기판에서의 조립과 프린트 기판에서의 조립
의 2 종류 있습니다.

   17. DDS 응용 저주파 발진 유니트

유명한 DDS 킷을 활용해, 이것과 PIC를 조합해,
저주파(10 HZ~200 KHz)의 신호 발진 유니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주파수 설정에는 로터리 엔코더를 사용해 1 Hz단위로
다이얼식에 가변으로 할 수가 있습니다.

   16. 리모콘 월면차

전항의 적외선 리모콘 송수신기를 사용해 월면차의 모형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번은 전항의 송수신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5. 적외선 리모콘 수신기

PIC와 모터 제어용 IC를 조합해. 속도 가변의 리모콘
수신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래와 같이 송신기와 조합해 여러가지 응용이 가능합니다.

   14. 적외선 리모콘 송신기

PIC만을 사용해 범용의 적외선 리모콘 송신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수신기와 조합해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13. 시리얼 통신 접속 PC 단말

PIC와 액정 표시기를 조합한 PC의 단말
PC와는 RS232C 접속, 300 bps~9600 bps의 통신 속도,
PIC의 표준 통신 라이브러리로서 사용 가능. (새치기 방식)

   12. PIC용 시리얼 ROM 라이터

아키즈키 통상의 킷을 사용한 ROM 라이터 제작
케이스에 전원과 함께 짜넣어

   11. 초음파 거리계

PIC16F84와 초음파 센서를 사용한 거리계
1 cm단위의 계측, 액정 표시기 사용

   10. 8자리수 주파수 카운터

PIC16F84와 액정 표시기를 사용한 범용의 카운터
8자리수 표시, 0.1sec, 1 sec 게이트 타임, 최고 18 MHz

   9. PLL 방식 7 MHzSSB 수신기

아래와 같이 VFO 유니트와 7 세그 표시 유니트를 이용했다
7 MHzSSB 수신기.
로터리 엔코더에 의한 다이얼과 디지탈 주파수 표시

   8. 7 MHz 수신기용 PLL 제어 유니트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PIC16C84를 사용한 표시 유니트
시리얼 입력, 5자리수 표시 제어, 다이나믹점등

   7. 7 MHzSSB 수신기용 VFO 유니트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PIC16C84를 사용한 PLL 제어 유니트
약 19 MHz를 10 Hz단위로 가변할 수 있다

   6. PLL 방식 50 MHzFM 수신기

아래와 같이 범용 PLL 유니트를 사용한 50 MHzFM 수신기
로터리 엔코더에 의한 디지탈 동조

   5. 50 MHzFM 수신기용 PLL 유니트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PIC16C84를 사용한 PLL 설정기
10 KHz 단위의 설정으로 2자리수의 채널 번호 표시 출력도 가진다

   4. 범용 PLL 유니트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PIC18C84를 사용한 범용 PLL 설정기
고주파 발진기의 주파수 설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PIC 무선조종 송신기 3

PIC16F84를 응용한 다채널 무선조종 송신기,
PIC로 간이 A/D변환을 실시해 다채널화

   2. PIC 무선조종 수신기 3

PIC16F84를 응용한 다채널 무선조종 수신기
모터 속도 제어 전용 IC를 추가해 PIC로 가변속제어

   1. PIC 응용 무선조종 수신기 2

PIC16F84를 응용한 다채널 무선조종 수신기
LSI화, 모터 ON, OFF 제어 방식

'기본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Spider, Web Crawler, Bot Examples  (0) 2008.05.07
PIC의 활용  (0) 2008.05.04
PIC의 사용법(프로그램편)  (0) 2008.05.03
PIC16F84A 타겟회로 제작  (0) 2008.05.02
각종 전자 회로도 안내 링크  (0) 2008.05.02


PIC의 사용법(프로그램편)

1. 기본 사항

(1)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와 크기

  • 프로그램 ROM 1K워드(PIC16C84, PIC16F84))
    1000개까지의 명령을 쓸 수 있다.
    ROM 라이터로 써넣는다.
  • 레지스터:36 바이트(PIC16C84) / 68바이트(PIC16F84)
    변수로 이용할 수 있는 메모리로 Register File로 독립적인 에리어가 확보되어 있다.
    데이터의 취급은 바이트(8비트) 단위이므로 주의.
  • Special Register 16종류
    PIC 전체의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레지스터류로 독립의 Register File로 준비되어 있다.
  • EEPROM 데이터 64바이트(PIC16C84, PIC16F84)
    전원을 OFF 해도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써 넣을 수 있다.
    단, 동작이 느리다는 점과, 써넣기 회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로그램 변수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사용법으로는 파라미터로 기억해 두려는 것을 써넣어 두고,
    재스타트시에 레지스터에 호출하여 사용한다.
  • Configration Bits
    프로그램 메모리의 어드레스 2007H번지에 있는 특별한 메모리로 PIC의 기본적인 조건을 설정한다.
    이 메모리는 프로그래밍할 때에만 Read/Write할 수 있다.
    설정 내용은 프로그램 보호의 유무, 전원 ON시의 RESET 조건, Watchdog Timer의 유무, 발진자의 종류이다.

(2) Register File을 보는 방법과 Bank(Page)의 전환

  • PIC에는 범용의 레지스터 이외에, 각종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Special Register라 부르는 것이 준비되어 있다.
    PIC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이 Special Register의 설정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그들은 모두, Register File이라 부르는 메모리로서 준비되어 있다.
    그 Register File은 Bank0(Page0) 과Bank1(Page1)이라 부르는 2 페이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소 액세스 방법이 번거롭다.
    즉, RESET 후 통상적으로는 Bank0(Page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Bank1(Page1)측의 레지스터에 액세스할 때는 Bank(Page)를 전환한 후가 된다.
    또한 Bank0(Page0)과 Bank1(Page1)에 같은 것이 있을 때에는 어느쪽이나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표준 Include File을 사용한 경우에는 아랫 그림에 의한 레이블로 어셈블러 리스트에 쓸 수 있다.

    [예] Bank(Page)를 전환하는 방법

Special Register인 "STATUS" 레지스터의 "RP0" 비트를 다시 기입함으로써 전환한다.

BSF STATUS,RP0 ;STATUS 레지스터의 RP0 비트를 1로하고
;Bank1(Page1)로 전환한다.
CLRF TRISA ;PORTA를 모두 출력 모드로 설정한다
MOVLW 0F0H ;11110000을 세트
MOVWF TRISB ;PORTB는 상위 4포트를 입력으로 설정
BCF Bank(Page)는STATUS,RP0 ;Bank0(Page0)으로 돌아간다

아랫 그림에 Register File의 내용을 나타낸다.

(3) 프로그램은 어디부터 시작되는가?
PIC는 전원이 들어갔을 때, 자동적으로 "RESET"된다. RESET되면 프로그램은 어드레스 0번지부터 실행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최초는 0번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프로그램이 실행중에 '인터럽트'가 허가되어 있으면 이 인터럽트가 들어갔을 때에는 강제적으로 어드레스 4번지로 점프한다.
따라서, 인터럽트에 관한 프로그램은 4번지부터 실행된다.
그래서, 보통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하여 8번지 이후에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한다.

ORG 0 ;RESET으로 0번지부터 시작된다
GOTO MAIN ;0번지는 GOTO에 의해 MAIN 처리로 점프
ORG 4 ;인터럽트로 4번지부터 시작된다
GOTO INTERRUPT ;4번지는 GOTO에 의해 INTR 처리로 점프
ORG 8 ;8번지를 지정
MAIN ---- 이후, 실제의 MAIN 프로그램
INTR ---- 이후, 실제의 인터럽트 처리부

(4) I/O 포트의 프로그래밍 방법

PIC16C/F84에는 입출력 포트(I/O 포트라고 한다)가 A와 B 모두 합쳐 13 포트가 준비되어 있다. 게다가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으로 할 것인지, 출력으로 할 것인지는 프로그램으로 정할 수 있다.
다음에 구체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입출력의 설정 방법
입출력은 TRISA, TRISB라는 Special Register로 설정한다.
이 각 비트가 PORTA와 PORTB의 각 포트에 대응하여, 입력: "1" 출력: "0"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전원 ON 후나 RESET 후에는 모두 "입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BSF STATUS, RP0 ;STATUS 레지스터의 RP0비트를 1로 하고
;Bank1(Page1)로 전환한다
CLRF TRISA ;PORTA를 모두 출력 모드로 설정한다
BSF TRISA, 1 ;PORTA의 RA1만 입력으로 한다
MOVLW 0F0H ;11110000을 세트
MOVWF TRISB ;PORTB의 상위 4포트를 입력, 하위는
;출력으로 설정
BCF STATUS, RP0 ;Bank0(Page0)으로 돌아간다

출력 방법
(PORTB의 하위 4 포트가 출력으로 한다)

BSF PORTB,1 ;PORTB의 RB1을 High로 세트
BCF PORTB,0 ;PORTB의 RB0을 Low로 세트
MOVLW 0CH ;00001100을 로드
MVWF PORTB ;PORTB의 하위에 1100을 세트
;즉 RB0, RB1이 Low, RB2, RB3이 High
CLRF PORTB ;모든 PORTB의 포트를 Low로 세트


입력 방법
(PORTB의 상위 4 포트가 입력으로 한다)

MOVF PORTB,W ;PORTB를 W 레지스터에 입력
MOVWF DATA ;입력한 PORTB의 데이터를 DATA에 저장
BTFSC POTRB, RB7 ;RB7를 테스트하여 Low이면 skip한다
GOTO HIGHWAY ;RB7이 High일 때 HIGHWAY에 점프
??? ;RB7이 Low일 때에 여기로 스킵한다
BTFSS PORTB, RB6 ;RB6를 테스트하여 High이면 skip한다
GOTO LOWWAY ;RB6이 Low일 때 LOWWAY로 점프한다
??? ;RB6이 High일 때 여기로 skip한다

[주의] BSF, BCF로 포트의 출력을 하는 경우
BSF, BCF에서 출력을 할 때,예를 들면 "BSF POTRB,RB0"라고 하는 명령을 실행하면 실제 동작은 아래의 순서로 실행된다.
·우선 포트 B의 전체 비트를 CPU에 읽어들인다
·CPU에서 비트 0에 1을 세트하는 연산을 한다
·연산 결과를 포트 B에 출력한다

즉, 출력하기 전에 입력을 실행한다. 그때, 가끔 출력전압이 낮은 부하일 경우(트랜지스터의 직접 드라이브와 같은 경우)에는 출력에 High를 내고 있어도 약 0.7V 정도 밖에 되지 않으므로 그 포트를 입력하면 Low로 간주해 버린다.
따라서, 연산 결과를 출력할 때에 Low로 재세트하기 때문에 High를 출력하고 있던 직접 관계없는 비트가 갑자기 Low로 되어 버리는 오동작으로 되고 만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포트를 입력 출력 혼재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MOVWF 명령으로 항상 전체 포트를 의식하고 동시에 출력해 줄 필요가 있다.
출력이 어중간한 출력전압으로 될 우려가 없을 경우에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2.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다음에는 실제 프로그램의 서식을 설명한다.
과제는 하드웨어편에서 만든 LED 점멸 회로를 실제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한다.

(1) 플로차트의 작성
자작 하드웨어에 필요한 기능을 생각하여, 우선 전체의 플로차트를 그려 본다.

[예제] LED 점멸 프로그램

START

PORT의 초기 설정 A, B 모두 모두 출력
|----→↓
|PORTA에 1을 출력 LED의 점등
|↓
|0.5초간 대기 루프
|↓
| PORTA에 0을 출력 LED의 소등
|↓
|0.5초간 대기
|_______|

(2)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다음에 실제로 editor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사용하는 editor에는 특히 제한이 없다. 고속으로 프로그램 리스트 작성에 적합한 에디터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MPLAB"라고 하는 MicroChip Technology사가 제공하고 있는 통합 개발 환경을 이용하면 에디터도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즉 어셈블이나 debug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게다가 프리 소프트웨어이다. 단, Windows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3) 프로그램 작성법
전체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한다.
헤더 부분 :CPU 칩의 종류를 지정한다
예: LIST P=PIC16F84
include 파일을 정의
언제나 공통으로 사용하는 변수를 종합하여 정의한다
어셈블러에 표준으로 첨부되어 있다.
예: INCLUDE "P16F84.INC"
변수 정의 :변수명을 레지스터 메모리에 할당한다
예: DATA EQU 0DH
개시번지 정의 :프로그램의 스타트 번지를 정의한다
예: ORG0 MAIN(main program)
메인 프로그램 :같은 반복 부분은 서브루틴으로 한다
예: CALL SECTIM
서브루틴 :몇회라도 메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부분을
서브루틴으로 정리한다.
예: 0.5초 대기 루틴
(4) 프로그램 리스트의 예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고, 일반적인 에디터로 보기 바란다.
LED 점멸 제어 프로그램 리스트
[명령 일람표] 편리한 도구
PIC16C84/PIC16F84의 명령을 A4용지 1장의 일람표로 종합한 것인데, 프로그래밍할 때에 편리하다.
MS-WORD의 문장로 되어 있다. 압축을 푼 후에 MS-WORD에서 인쇄하기 바란다.
명령 일람표


3. 어셈블한다

프로그램 작성을 끝마쳤으면 다음은 어셈블 작업이다. 어셈블이란 사람이 작성한 기호의 리스트에서, 기계어로 변환하여 ROM에 써 넣을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1) 개발용 소프트웨어를 입수한다
개발용 소프트웨어는 Microchip technology사의 www에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장 최신판을 입수할 수 있는 길이며, 또한 무료 프리 소프트웨어이므로 가장 편리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입수할 수 있는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개발 tool이 있다.

* MPLAB-IDE3.12.14 MPLAB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MPASM 1.40.00 Assembler software for Windows
* MPSIM 5.20.00 Software Simulator for DOS

MPLAB가 버전업되었다.
* MPLAB-IDE 3.40
* MPASM 2.13

여기서 MPLAB는 Windows상에서 실행되는 에디터 어셈블러, 시뮬레이터를 일체화한 것이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이들 설명서는 다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MPLAB-IDE3.12.14 MPLAB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MPASM 1.40.00 Assembler software for Windows
* MPSIM 5.20.00 Software Simulator for DOS
* MPLAB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User's Guide
* MPASM Assembler User's Guide
* MPSIM DOS simulator User's Guide

(2) 어셈블한다
앞에서 입수한 MPLAB(어셈블러를 포함한다)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어셈블한다.
MPASM의 경우에는 어셈블러를 기동하면 설정 화면이 나타나므로 CPU의 종류와, CASE Sensitive를 off, 출력 포맷을 INHX8M으로 설정한다.
이 어셈블 결과가 "error 0"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에러가 나오는 것은 리스트에 무엇인가 잘못이 있다는 것이다. 끈질기게 추적하여 바로잡기 바란다.
오류를 수정했으면 자동적으로 object file(*.hex)이 작성된다. 이 파일이 PIC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써넣을 프로그램의 데이터로 된다.
(3) 시뮬레이션한다
어셈블이 "error 0"으로 되었다면 다음은 퍼스널컴퓨터상에서 시뮬레이션하면서 실제로 실행시켜 본다.
이 시뮬레이션에는 상기 개발 tool 중에서 "MPSIM"이나 "MPLAB"를 사용한다.
이 시뮬레이션에는 상당히 "요령"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보다 더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 기기에 실장하여 동작하지 않을 때는 허급지급 찾게 되므로 이 시뮬레이터에 의해 확인하는 편이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신속히 발견할 수 있다. 이 debug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MPLAB의 사용법"을 참조하기 바란다.
(4) 프로그램 써넣기
완성된 object file을 실제 PIC의 칩에 써넣기 위해서는 ROM 라이터와 써넣기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된다.
이 세부적인 사항은 "ROM 라이터의 제작"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개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왕초보마이컴입문] PIC16F84A 타겟회로 제작
Circuitry , 등록일 : 2007.06.22 <18:21> , 조회 : 80

우리 오픈 프로젝트의 실험에 사용되는 PIC16F84(A) 타겟 회로도 (Target circuit)와 브레드
보드에 제작한 사진들입니다. 타겟회로에 사용된 PIC16F84(A)에는 아직 프로그램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전 실험과정의 이해를 돕기위해 프로그램 동작결과를 먼저 보였습니다)
    ▶ 우리가 사용하는 PIC16F84(A) 타겟 회로도 (Target circuit)

    ▶ 실험 전체회로 제작사진


    ※ 아직은 16F84(A)의 ROM안에 프로그램이 없으므로 동작은 하지 않습니다. (그림은 완성단계를 보임)

    ▶ 16F84(A) 타겟회로 제작사진 (1)

    ▶ 16F84(A) 타겟회로 제작사진 (2)

    다음 장에서는 PIC16F84(A) 타겟회로에 사용될 *.hex 파일을 라이팅할 수 있는 롬-라이터를 제작하고, 실제로 PIC16F84(A)의
    ROM안에 우리가 작성하고 어셈블, 링크한 EX1.HEX 파일을 구워넣어 보겠습니다.

ALARM VE GVENLK DEVRELER

SES AMF G DEVRELER

SES PREAMF DEVRELER

OTOMOBL, MOTORSKET UYGULAMA DEVRELER

VER YAKALAMA VE VER KAYITLARI EMA UYGULAMALAR

FLTRE DEVRELER

OYUN EGLENCE PROGRAMLARI

NFRARED UYGULAMA DEVRELER (KIZIL?ES?

LAZER G KAYNAKLARI VE UYGULAMALAR

2008.04.19

2008년 제1회 (산업)기사 실기에서

"게임기획전문가 실기"시험을 치뤘습니다.

특별히 준비하지는 않고, 그냥 기회가 되어서 시험을 치르게 되었는데,

그냥 자신의 간단한 (게임)기획의 능력을 테스트해보려 응시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본 시험문제의 개요는

새로이 소규모인원이 팀워크 훈련을 위해서 가벼운 게임을 작성하기 위해

"테트리스"게임을 기획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테트리스게임을 룰을 설명하는 것,

테트리스 게임의 화면 디자인과 레벨 디자인이 문제로 나왔는데,

중요한 것은 워드 문서로 기획안 작성하기,

워드프로세서를 잘다루어 표 및 설계서를 만드는 것으로 문제가 나오는 것 같네요.

중간에 테스리스를 온라인 대전게임으로 확장하는 것 나오는데..

아마도 이번 시험은 "겜마블"의 온라인 테트리스 게임을 즐겨하는 사람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게임이 아닌가 합니다.

저는 4년전인가, 회사 여직원이 즐겨 하는것을 사무실에 지나면서 흘끗본 기억이 나는데

시험보면서, 저도 좀 했었으면 했군요.

아마도 레벨 디자인과, 순서도 더 나아가서는 UML UseCase디자인도 출제되지 않을 까 합니다.

그래도 이것도 시험이리고, "게임 시나리오 작법", "게임기획"어쩌고 하는 책들 대충훝어 보았는데,

아무래도, 기획서 스스로 작성하고, 검토하는 작업을 많이 한 사람에게 유익한 시험내용인것 같네요.

1 win32기반의 gcc관련 툴 #

  • Cygwin - Win32에서 GNU 관련 개발툴과 유틸리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cygwin에 대한 내용.
  • MinGW - gcc로 win32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수 있게 해주는 공식 배포본.
  • unxutils 이야기 - Karl M. Syring이란 사람이 관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UNIX나 리눅스에서 흔히 사용하는 명령들을 윈도우즈로 옮겨놓았습니다. 인스톨러 형태의 배포본도 있네요.
  • GNU patch 간략사용법 - 웹에서 퍼왔습니다. patch 화일 만들기 및 적용방법 요약.

2 openoffice #

3 인스톨러 제작툴 #

  • [http]NSIS 2 - Winamp로 유명한 널 소프트에서 만든 인스톨러 저작툴입니다. 약간 쓰기 어렵지만, 공개라는 점과 스크립팅 시스템이 거의 상용수준이라는 점이 장점이죠.
    • [http]http://hmne.sourceforge.net/ - 전용 에디터입니다. 간단한 인스톨 스크립트를 만들어주는 위저드 기능 포함. 물론 공개. 델파이로 만들었네요.

4 FTP 관련 #

5 문서 저작툴 #

  • Tex - 유명한 조판 언어 tex에 대한 자료.

6 그래프 문서 저작툴 #

  • Graphviz - AT&T사에서 만든 dot이라는 알고리즘을 구현한 그래프 시각화 툴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순서도'나 '구조도'를 생성해주는 툴이죠.
  • [http]http://www.ideagraph.net - 아이디어를 visual 맵으로 저장해주는 툴. 자바로 제작.
  • Dia 이야기 - visio 공개판이라 할 수 있는 툴. 그래프 기반의 문서작성 툴. GTK+로 제작.
  • [http]http://www.gnuplot.info/ - 꽤 오래된 그래프 드로잉 툴. 원래 과학계산용 공식 그래프를 그려주는 툴인데, 간단한 높이필드나 경로체크용 그래프, 산포도등의 용도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설치도 쉽고 사용하기도 편리합니다.

6.1 프로젝트 일정관리 #

  • [http]http://ganttproject.sourceforge.net - gantt 차트 저작툴. visio외 다른 툴보다도 훨씬 좋고 심플하다. java 1.4이상 요구. 현재 한글깨지는거 해결된 상태

7 프로그래밍 Helper 툴 #

  • doxygen 이야기 - Doxygen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메뉴얼 번역 및 설치법등등.
  • CVS - 버전 관리 및 프로젝트 소스 관리시스템인 CVS에 대한 내용입니다.
    • [http]http://subversion.tigris.org/ - subversion이라는 CVS를 개선한 버전관리 시스템입니다. 아파치 서버를 기반 서버로 사용하는 것과 파이선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무래도 cvsnt보다는 무거운듯...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괜찮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tortoisesvn이라는 tortoisecvs 클론이 개발되고 있네요. :)
  • [http]http://webcpp.sourceforge.net/ - 여러가지 언어의 프로그램소스를 syntex highlight처리된 html화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
  • autoconf 이야기 - makefile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gnu 툴.
  • jam 이야기 - perforce사에서 만든 make 대체 툴. C++작업에 유용. boost 라이브러리에 채용.

8 콜백 관리 #

  • 콜백 시스템으로는 크게 시그널-슬롯방식과 메세징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GUI라이브러리의 처리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MS 윈도우즈는 전통적으로 메세징을 선호하고 있지만, GTK와 Qt와 같은 공개진영과 관련된 곳에서는 시그널-슬롯방식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양쪽다 장단점이 있긴하지만... 시그널-슬롯 방식은 국내에는 잘 알려져있지 않을 것 같네요.
  • [http]http://libsigc.sourceforge.net - libsigc++ 이라는 GTK++에 채용된 C++ typesafe 콜백 라이브러리입니다. 보통 boost::signals와 비교되지만... boost의 것은 jam이라는 비make기반의 빌드툴을 사용해야만해서 좀 거부감이....:)
    • sigcpp이야기 - libsigc++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둔 것입니다.

9 네트워크 #

  • [http]netcat - TCP/UDP 패킷 분석 Helper 툴. 간이 서버 및 클라이언트 테스트 용도로도 사용가능. 간단한 RPC툴로도 사용가능합니다! 배포본안에 포함된 실행화일에 트로이목마 바이러스가 걸려있습니다! 압축푸시고 실행화일을 지우신 후 새로 컴파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netcat 이야기 - readme화일 번역. 자작 mingw용 makefile과 win32용 빌드 실행화일도 있습니다. :)
    • [http]http://www.atstake.com/research/ - @Stake라는 회사인데 네트워크 전문 연구소를 소유하고 있음. 위 툴은 hobbit와 chris라는 이 회사 연구원이 개발.
    • [http]http://farm9.org/Cryptcat/ - netcat에 twofish2 암호화 알고리즘을 붙였네요. 오픈소스. 소스에 twofish2 소스 포함되어있는데 꽤 깔끔합니다.
  • MRTG 이야기 - multi router traffic grapher. 트래픽 및 기타 정보에 대한 통계 그래프를 웹으로 출력해주는 툴. perl로 작성되어있다. 꽤 잘알려진 오픈소스 프로젝트.
  • Ethereal 이야기 - 오픈소스 네트워크 분석기. 일명 스니핑 툴이라고 하는데, 패킷을 가로채서 덤프하는 툴이죠. 보통 상용을 쓰는데, 이것도 꽤 괜찮은 툴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GUI가 좀 쓰기 그렇다는 단점은 있군요.
  • STunnel 이야기 - 공개 SSL 프록시 서버 데몬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SSL을 지원하지 않는 서버를 SSL을 지원하도록 하는데 사용합니다.
  • Snort 이야기 - 공개 IDS 툴(외부로부터 해킹과 같은 침입이 발생했을때 진단하고 알려주는 툴)중에서 유명한 것입니다. 버전업되면서 거의 상용수준의 성능을 자랑합니다.
  • [http]fragroute - IDC 테스팅 툴.
  • [http]http://pvpgn.berlios.de/index.php - 블리자드 베틀넷을 공개로 다시 구현한것. 오픈소스. :)

10 압축 #

  • [http]http://www.info-zip.org - 오래전에 개발된 명령행 zip압축해제툴. zip, unzip과 같이 압축/해제를 별도의 프로젝트로 관리중. 비압축 zip화일을 만들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오픈소스.
  • zlib 이야기 - 유명한 공개 압축라이브러리인 zlib입니다. MS도 자사제품일부에 사용했다고 하죠.
  • [http]http://zziplib.sourceforge.net/ - zZIPlib. zlib를 다소 사용하기 쉽게 정리한 라이브러리. 내장?디렉토리에 따라 화일을 열고 읽을 수 있도록 한것이 특징.
    • mingw에서 컴파일 : 빌드 안됨. mmap 부분에 문제가 있는듯...
  • [http]http://www.eskimo.com/~scottlu/win/ - zlib기반의 실행화일 압축 프로그램. 오픈소스.
  • [http]http://www.oberhumer.com/opensource/lzo/ - upx 개발자가 만든 압축 라이브러리. 무손실, 상당히 빠른 압축해제속도, 압축풀때 메모리를 사용안함. ANSI C 기반인점 등등 장점이 많은 라이브러리.
  • [http]http://upx.sourceforge.net/ "the Ultimate Packer for eXecutables"의 약자. 실행화일을 압축해서 상당히 작은 크기로 만들어주는 오픈소스 툴. 압축률이 상당히 좋다. 소스는 공개되어있지만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원저자와 협의필요.
    • 팁 : msys에서 사용하려면 32비트 DOS버전을 설치해야만 합니다. 다른 것은 다운되더군요.

11 라이브러리 #

  • [http]http://cal3d.sourceforge.net/index.html - Cal3D. 공개 오픈소스 캐릭터 에니메이션 라이브러리.
  • freeimage 이야기 - C 기반의 이미지 라이브러리입니다. 처음 개발자가 개발을 그만두었지만 현재도 개발이 진행중인 라이브러리.
  • SQLite - SQL92 표준을 따르면서 Metakit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DB 라이브러리.
  • [http]http://www.icculus.org/physfs/ - 퀘이크 WAD화일처럼 화일 한개내에 여러개의 화일을 담아두고 억세스하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
  • Makeheaders 이야기 - C/C++ 소스를 모아 헤더화일을 생성해주는 툴.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편리함.
  • LEMON 파서생성기 이야기 - bison이나 yacc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간단하고 상당히 가벼운 파서생성기.
  • OTL - OTL (Oracle/ODBC Template Library) 공식 홈페이지.
  • [http]http://dtemplatelib.sourceforge.net - DTL (Database Template Library) 공식 홈페이지. ODBC 필요.
  • [http]http://www.unixodbc.org/ - unixODBC 공식 홈페이지.
  • [http]http://zeoslib.sourceforge.net/ - ZEOS 라이브러리 공식 홈페이지. 오픈소스 DB 연결에 사용. C빌더/델파이용.
  • [http]http://www.vorbis.com Ogg Vorbis. 오픈소스 사운드 압축화일 포맷 및 그에 따른 지원 라이브러리 프로젝트.
  • [http]http://www.speex.org/ - Ogg와 호환되는 Vorbis 대체용 코덱. vorbis보다 2~4배더 압축효율이 좋다고 한다. 대신 패턴에 따른 손실이 크며 주로 음성코덱용으로 사용.
  • [http]http://www.portaudio.com/ - 다중 플렛폼 오디오 입출력 라이브러리. 오픈소스.
  • [http]http://synedit.sourceforge.net/ - 공개인 syntax highlighting 가능한 메모 VCL 콘트롤.
  • [http]http://libsigc.sourceforge.net/ - signal+slot방식의 콜백시스템을 아주 쉽게 구현하게 해주는 C++기반의 템플릿 라이브러리. qt나 gtk+등등을 써보신 분은 이러한 이벤트 전달방식에 괜찮다는 생각을 하실 수 있을 듯. 현재 버전 2.0 발표.
  • iconv - 각종 로케일 및 코드변환 라이브러리. 예를 들면 UTF-8 -> 조합형 또는 완성형 처리를 실행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GNU 재단에서 관리하네요.
  • curl 이야기 - HTTP, FTP등등의 잘알려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명한 라이브러리입니다.
  • [http]http://www.ginac.de/CLN/ - 큰 상수 및 실수 연산 라이브러리. C++로 되어있습니다.
  • [http]http://www.geocities.com/axilmar/libgc/libgc.htm - 어떤 사람이 만든 C++ 개비지 컬렉터. 나름대로 정리한 듯. gc되어야하는 객체를 특정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아야만 하는 것이 단점.
  • [http]http://conio.sourceforge.net/ - 볼랜드 터보C 스타일의 콘솔 입출력 라이브러리. 간단히 말해 명령 프롬프트상에서 커서이동 및 문자열 색상 변경등을 단순화시킨 것. :)
  • [http]http://softwire.sourceforge.net/ - 실시간 임베딩 x86용 어셈블러 라이브러리. C++로 작성되어있으며 특정 상황에 상당히 유용할거라 생각됩니다.
  • [http]http://www.cs.man.ac.uk/aig/staff/alan/software/ - 2D 폴리곤 clipping 연산 라이브러리. GPL.

11.1 자료구조 #

  • [http]http://users.footprints.net/~kaz/kazlib.html - 몇몇 리스트, 해쉬트리등등을 구현한 C 라이브러리. C++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STL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유용할 거라 생각합니다.

12 보안 및 암호화 #

12.1 라이브러리 #

12.2 PGP #

PGP 참조

13 에디터 #

  • scite - 최강의 초경량, 다기능 텍스트 에디터. 강추입니다!
  • vim 이야기 - vim/cream에 대한 내용입니다.
  • [http]http://www.jedit.org/ - 자바로 만든 오픈소스 플러그인방식의 에디터. 상당히 기능이 다양하며 뭐니뭐니해도 플렛폼 독립적이라는게 장점. 한글인코딩지원 및 문법 하이라이팅을 XML을 통하여 쉽게 고칠수 있다는 점이 장점.
  • [http]http://www.eclipse.org/ - 자바로 만든 통합 IDE. 다소 느리지만 J빌더 수준은 나온다는 소문이...

13.1 diff 툴 #

  • [http]http://winmerge.sourceforge.net/ - 상당히 쓸만한 diff 및 merge 프로그램. tortoisecvs와 연동도 가능. 정식보다는 가급적 최신 베타 버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메뉴 한글화됨.

14 기타 툴 #

15 게임 제작 관련 라이브러리 #

  • [http]http://plib.sourceforge.net/ - PLib. 여러가지 이식가능한 게임제작관련된 라이브러리의 모음.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참고할만함.
  • [http]http://www.ploksoftware.org - ExNihilo라는 오픈소스 3D 엔진을 제공하고 있음.
  • [http]http://clanlib.org/ clanlib 게임 라이브러리. 출력, 입력, 사운드, 네트워크 통합 지원.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공개게임들의 품질이 괜찮다.
  • [http]http://alleg.sourceforge.net/ - allegro. DOS시절부터 발전되어온 게임 제작용 라이브러리. 출력만을 지원.
  • [http]http://irrlicht.sourceforge.net/ 우연히 발견한 오픈소스 3D 엔진. 성능 및 기능은 모르겠지만, DX와 GL의 통합 계층부분은 쓸만하다.
  • [http]http://arianne.sourceforge.net/ - 온라인 게임 프레임워크. 자체 서버 프레임워크도 가지고 있음.

16 사운드 #

17 XML #

17.1 XML-RPC #

XML-RPC 참조

18 화일 공유 #

19 그룹웨어 & 스케줄링 #

  • [http]http://www.phprojekt.com/ - php + DB 기반의 오픈소스 그룹웨어. 한글이 잘된다. gantt 차트도 그냥 HTML table로 만든 것이 특이.
  • [http]http://www.k5n.us/webcalendar.php - 간단한 보안기능을 가진 웹 달력. 간이 스케줄러로서 유용. 일부 한글화.
  • [http]http://www.planscalendar.com - 간단한 웹기반 달력시스템. 수정시 암호지정가능. 호스팅 계정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20 마인드매핑 #

21 정규표현식 #

22 파서/스캐너 #

22.1 spirit #

  • [http]http://spirit.sourceforge.net - C++내에 inline방식으로 LL 파서를 내장시켜주는 템플릿 라이브러리. 쓰레드안전기능추가를 위해서는 boost.threads, 정규표현식 파서기능을 쓰려면 boost.regex 필요.

22.2 lex/yacc #

23 악세사리 #

  • [http]http://surf.to/neko/ - 윈도우즈용 neko. 화면뛰어다니는 고양이를 표시해주는 "고루한" 악세사리인데, 소스가 공개되어있다. :)

24 포럼 #

  • minibb 이야기 - ACE 포럼을 만드는데 사용한 포럼툴입니다. 간단하고 고치기쉬운것이 장점.

25 머드 #

  • 좀 고전적이지만 기획적인 측면에서 참조할게 있더군요. 공개이고 괜찮은 사이트 링크합니다.
  • [http]http://www.awemud.net - 텔넷기반의 MUD서버제작 사이트. scriptix라고 하는 자체 스크립트 언어도 개발중이다. 모두 오픈소스 공개.

26 번역 툴 #

  • [http]http://www.poedit.org - poedit. gettext를 실행하려면 po화일을 우선 작성해야하는데 이를 작성하기 쉽게 해주는 프로그램. 한글화 되어있음.
  • [http]http://translation.gnu.or.kr/helping/gettext/ - gettext 번역방법. 간혹 몇몇 공개 어플리케이션은 gettext를 사용하여 국제화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27 텔넷 클라이언트 #

  • [http]http://kldp.net/projects/iputty/ - putty라는 오픈소스 공개 텔넷 클라이언트가 있는데, 이를 한글화한 것입니다. 오른쪽에 있는 다운로드 탭을 선택해서 다운받으면 됩니다.

28 email 알림 #

29 트루타입 저작툴 #

30 벡터기반 그리기도구 #

30.1 스포이드 툴 #

30.2 Hex 에디터 #

31 그래픽 화일 제어 #

32 웹 에디터 #

  • [http]http://www.fckeditor.net/ - 웹상에서 간단한 문서에디팅을 예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 IE, 모질라 계열 모두 지원. 오픈소스. 꽤 좋다. :)

33 웹 서버 #

  • [http]http://www.lighttpd.net/ - 아파치보다 빠르다는 벤치마크 결과를 게시하고 있네요. php가능. UNIX계열 only.
  • [http]http://dmr.ath.cx/net/darkhttpd/ - 단일쓰레드기반에 HTTP 1.1을 지원하는 웹서버 데몬. UNIX계열 운영체계에서 사용가능하다. CGI지원안함. 오픈소스. BSD 라이센스.
  • [http]http://www.yhttpd.org - 이식가능하고 가벼운 오픈소스 웹서버. ychat이라는 채팅서버도 같이 개발중.

34 irc 서버 #

35 time서버 동기화 클라이언트 #

  • [http]http://nettime.sourceforge.net/ - 공개 win32 time 서버 클라이언트. 간단히 말해 PC 시간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맞춰준다. 우리나라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타임서버 time.kriss.re.kr 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36 webcam #

37 괜찮은 공개프로그램(오픈소스아님) #

  • [http]http://www.teamcti.com/trayit/trayit.htm - 모든 프로그램을 tray로 집어넣어주는 win32용 프로그램. 프로그램 여러개 띄워놓고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꽤 쓸만한 툴.
  • [http]http://free-backup-software.net/ - justzipit이라는 압축 툴 제공. 알집도 좋지만, 가볍고 쓰기좋은 점에서는 이것도 좋은 듯. 속도도 빠르다.
  • [http]http://www.freedownloadmanager.org/ - flashget과 같은 공개 다중 다운로드관리자. 여러화일을 다중쓰레드로 빨리 다운받을때 유용하죠. 팝업광고도 안뜨는 아주 괜찮은 툴입니다. :)
  • [http]http://openproject.nazzim.net/ - 국산 캡쳐 프로그램. 심플하고 있을건 다있다.

38 괜찮은 상용프로그램 #

38.1 sshd 서버 #

'2007.10.21 Koex 로봇박람회'

제 목제45회 변리사 1차시험 가채점 결과
작성자운영자 등록일2008-03-24 08:56:21.0


예상 합격인원은 614명 / 예상 합격평균점은 71.66

가채점 결과는 합격자 발표이전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수험자 여러분의 수험 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해 드리는 것으로서, 이 자료는 최종결과가 아니므로 소송 등 기타 어떠한 용도로도 사용하실 수 없으며, 확정정답에 의한 재채점을 통해 최종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가채점 결과
○ 예상 합격인원 : 614명
○ 예상 합격평균점 : 71.66점
○ 과목별 평균 및 과락률 통계

산업재산권법

민법개론

자연과학개론

예상합격점

(총점/평균)

평 균

62.12

65.19

48.39

215 / 71.66

과 락 률

16.00%

13.19%

22.47%

□ 가채점 결과 확인 방법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 『로그인』 ⇒ 『나의 접수내역』 ⇒ 『시험결과확인』 메뉴에서 개인별 점수 확인 가능

□ 제45회 변리사 제1차 시험 응시현황
제1차 시험 대상자 3,766명 중 2,457명이 응시하여 응시율은 65.24%

□ 향 후 일 정
○ 최종정답 발표 : 4. 24 (목)
○ 최종합격자 발표 : 5. 7 (수)

'기본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10.21 Koex 로봇박람회  (0) 2008.04.13
pic16f84 테스트 보드  (0) 2008.03.30
정보통신기술사  (0) 2008.03.24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0) 2008.03.24
X3D 자료  (0) 2008.03.24
정보통신 > 정보통신기술사

시험일정
구분필기
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필기합격
(예정자)
발표
실기
원서접수
실기시험최종합격
발표일
2008년 정기 기술사 제84회2008.01.18
~
2008.01.24
2008.02.172008.03.312008.03.31
~
2008.04.03
2008.04.26
~
2008.05.08
2008.06.02
2008년 정기 기술사 제86회2008.08.01
~
2008.08.07
2008.08.242008.10.062008.10.06
~
2008.10.09
2008.11.01
~
2008.11.13
2008.12.08

개 요
유선 및 무선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통신분야에서 전문적인 기술, 오랜 실무경험을 바탕 으로 통신업무의 합리화와 전문화를 위한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할 전문인력을 양성하 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제도 제정. 
영문명칭
Professional Engineer Information Communication
변천과정
1991년 개정된 전기통신기술사(1974년 통신기술사(전기통신)로 신설0와 1991년 신설된  정보통신기술사가 1999년 정보통신기술사로 변경. 
수행직무
전기·정보통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통신망에 관한 계 획 및 운용업무 담당.  정보의 검색 및  제공 등 정보통신에 관계되는 정보전송방식,  정보기기, 정보통신설비에 관한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기술자문과 감리 수행.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전자통신공학, 정보통신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무선, 유선통신망의 설계, 시공, 보전 및 음성, 데이터, 방송에 관계되는             통신방식, 프로토콜, 기기와 설비, 기술기준에 관계되는 사항④ 검정방법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400분)   -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출제경향
- 정보통신과 관련한 실무경험, 전문지식 및 응용능력- 기술사로서의 지도감리·경영능력, 자질 및 품위 
진로 및 전망
- 통신기기 제조업체, 정보통신설비제작업체 및 공공기관, 정보통신설비를 공사·설치하   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 전기통신공사, 광통신회사, 데이터통신공사, 연구소 등에 진   출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연구개발 및 정보통신기기의 개발을 담당할 수 있다.  또   는 자신이 직접 회사를 경영하거나 시스템컨설팅업체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기도 한   다. - 통신기기산업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고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   업으로 다른 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가 크며 동시에 기술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매   우 높은 산업이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사회에서 통신기기를 비롯한 정보통신산업   은 중요한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만큼 정보화사회   에서 정보시스템을 계획·설계하고 기술적 타당성을 최종적으로 결정내리는 전문가   의 역할은 그 중요성을 더해갈 전망이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개발 못지 않게 운영업   무의 감리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보시스템감리업무에 이론과 경험을 겸비한 정보   통신기술사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검정수수료
필기 : 60000원
실기 : 75000원

실시 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기관주소
www.hrdkorea.or.kr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년도

원서접수인원

최종응시인원

최종합격인원

합격율

정보통신기술사2007727564234.1%
정보통신기술사2006682504367.1%
정보통신기술사200562243992.1%
정보통신기술사2004440296217.1%
정보통신기술사2003417310113.5%
정보통신기술사2002346247114.5%
정보통신기술사2001324260176.5%
정보통신기술사1992-20002,4331,7421679.6%
정보통신기술사5,9914,3622955.563%

'기본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16f84 테스트 보드  (0) 2008.03.30
제45회 변리사 1차시험 가채점 결과  (0) 2008.03.28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0) 2008.03.24
X3D 자료  (0) 2008.03.24
기술지도사 추천 교재  (0) 2008.03.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