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python.org

http://www.vpython.org

Here is a complete VPython program that produces a 3D animation of a red ball bouncing on a blue floor. Note that in the "while" loop there are no graphics commands, just computations to update the position of the ball and check whether it hits the floor. The 3D animation is a side effect of these computations.

여기에 파란 바닥에서 붉은색 공이 튀어오르는 완전한 3D 애니메이션을 작성하는 VPython 프로그램이 있다.

"while"루프안에 그래픽 명령이 없는 것을 주목하라. 단지 공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적용할 뿐이다. 그리고

어디서 바닥에 부딪치는 지 확인하라. 이 3D 애니메이션은 이 계산의 주변효과일 뿐이다.

from visual import *

floor = box (pos=(0,0,0), length=4, height=0.5, width=4, color=color.blue)

ball = sphere (pos=(0,4,0), radius=1, color=color.red)

ball.velocity = vector(0,-1,0)

dt = 0.01

while 1:

rate (100)

ball.pos = ball.pos + ball.velocity*dt

if ball.y < ball.radius:

ball.velocity.y = -ball.velocity.y

else:

ball.velocity.y = ball.velocity.y - 9.8*dt

The program starts by importing the module "visual" which enables 3D graphics.

A box and a sphere are created and given names "floor" and "ball" in order to be able to refer to these objects.

The ball is given a vector velocity.

In the while loop, "rate(100" has the effect "do no more than 100 iterations per second, no matter how fast the computer."

The ball's velocity is used to update its position, in a single vector statement that updates x, y, and z.

Visual periodically examines the current values of each object's attributes, including ball.pos, and paints a 3D picture.

The program checks for the ball touching the floor and if necessary reverses the y-component of velocity,

otherwise the velocity is updated due to the gravitational force.

이 프로그램은 3D 그래픽을 가능하게 하는 "visual"모듈을 임포트하므로써 시작한다.

박스와 구면체는 "floor"와 "ball"의 이름으로 생성되고 명명된다.

구면체는 주어진 vector 속도를 가진다.

루프안의 "rate"(100 은 초당 반복을 의미하고, 이것은 컴퓨터의 속도에 관계없다)

구면체의 속도는 구면체의 위치의 변화를 적용하는데 사용되고, 간단한 vector의 정의는 그것의 x,y,z로 한다.

각각의 물체들의 속성의 적용시점의 값을 계산하면 주기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보이게 되고, 프로그램은

y속도를 체크하면서 구면체가 바닥과 접촉하는지를 체크하고, 다른면에선 그 속도는 중력에 의해서 변화된다.

Java로 3D 그래픽스를 구현하고 간단한 엔진까지 만들어볼라고 합니다.

다음은 테스트입니다.

키보드로 전진/후진/좌/우 로 움직여서 네비게이션 가능합니다.

http://user.chol.com/~comphy/JavaAppletEx/3D/BillboardAppDefault.HTML<=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FLASH 자작 애니메이션 김소월 산유화

* 화단의 꽃 촬영

* 김소월의 산유화 흘리기

우선 선배님이라할께요(님 님하는것보단좋으니)

고등학교졸업하고 진학하는 학생인데요
게임프로그래밍 자격증을 따서 학사편입을 준비할려합니다

지금 한국아이티전문학교 라는곳으로 진학을해서
할려하는데 중간에 군대때문에 2년을 전문학교 다닐까
아님 학원이나 혼자해서 자격증을 1년안에따서
학사학위를 받을까 고민중입니다

제 질문은 선배님께서 보시기에
게임프로그래밍이라 자격증을 1년안에 다른공부도 병행하며 딸수있는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혼자할수있는지와 학원을 다녀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김성준의 답변......

질문의 요지가 .....
질문의 요지가 혼자할 수 있는지 또는 학원을 다녀야 하는지 인데요.
스스로 다시 생각해보시면.....
학원을 다니면 전문교수법을 생각하면서 합격율을 높이도록 지도하는 선생님이 가르치고,

거기 잘 따르는 것이고,

저같이 혼자 공부했던 경우는 스스로 기출문제를 파악해서 어떻게 공부하면 승산이 있겠다.

시험문제의 경향이 이것이고 이런 것들을 묻는 구나... 하는 것(선생님의 몫)까지 혼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일과 병행하면서....


선생님에게 배운 경우는 자격증은 쉽게 따지만 앞으로 할 업무는 별개라는 것이고,

혼자 그런것까지 연구하는 것 자체가 일을 이렇게 하는 것이라는 걸 느끼게 될 것입니다.

어차피 개발하는데 옆에서 이렇게 하는거라고 가르치는 사람은 많지않으니까요

SCJP Sun Micro Systems 자바 자격증 사진





CCNA 시스코 인터넷자격증 사진

최근 취득 자격증 : 2006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1.asp (전략수립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2.asp (지식구조화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3.asp (점검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4.asp (필기수험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5.asp (면접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6.asp (합격 후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7.asp (유용한 자료들)

[전략수립단계]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주위 분들이 물어오는 질문 중에 많은 것들이 시험 공부 방법이다. 얼
마만큼의 기간을 준비했는지, 어떠한 책과 자료를 보아야 하는 지, 학원 강의를 수강할 필요가 있
는지 등의 궁금사항에 대한 답변을 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개
인의 개별 수험 방법에서 일보 나아가서 합격하신 분들과의 면접과 나름대로 모아온 합격 수기 및
각종 자료를 참조하여 보편적인 수험 준비 방법을 만들어서 기술사 자격 취득을 준비하시는 예비
기술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게 되었다.

PEAP methodology는 Professional Engineer Acquisition Preparing Methodology의 약자이다. PEAP
methodology는 시험 공부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세분화하고 해당 단계에서 해야될 일들과 방법을 정
리하였다. 이 방법론의 특성은 첫째, 취사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당히 많은 분량의 시험 방
법을 정리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특성에 맞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
을 중심으로 엮었다. 기술사를 향한 장정에 첫 발을 내 디디신 분들이 부딪히는 궁금함과 혼란을
고려하여 방법론을 만들었다.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성공 요인중의 하나는 체계적인 준
비를 꾸준히 하는 것으로 체계적인 준비에 대한 구체화된 모습을 여기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표3-1 PEAP Methodology의 구성>

단계활동기간비고
전략수립단계
- 생애 최고의 목표를 향한 집념을 확인
- 기술사와의 인터뷰를 통한 가능성 확인
- 전략 수립
- 일정 수립
1주일
- 시험일정확인
- 일정수립
지식구조화
단계
- 도메인 정의
- object 정리
- 서브노트 작성
- 이해 및 암기
6개월~1년
-서브노트
-모범답안
점검단계- 최종 정리2주일
필기수검단계- 시험1일- 최선의 노력
면접단계
- 면접준비
- 면접
4주- 면접 시나리오
합격 후
단계
- 기술사로서의 사회적 역할 확인
평생- 자기 개발 극대화


PEAP Methodology의 기간은 자신에게 맞도록 새로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일정에서 각각의
단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표준 안에 근거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PEAP Methodology의 각 단계는 전
략 수립, 지식 구조화, 점검, 필기 수검, 면접, 합격 후의 단계 등 6개로 구성된다. 전략 수립 단
계에서는 목표의 설정, 가능성 확인을 위한 사전 조사 작업을 통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
할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지식 구조화 단계는 본격적인 수험 공부를 시작하는 단계로 수립된 전
략에 의거하여 기술에 대한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단계이다. 점검 단계는 필기 시험 전에
최종적인 점검을 통하여 합격 가능성을 높이고, 필기 시험을 위한 최고의 전력을 투구하는 단계이
다. 필기 시험은 정해진 규칙과 제도에 따라 시험을 치룬다. 필기 시험 합격 후에는 바로 면접 준
비를 하는 면접 단계가 있으며, 최종 합격 후에 나태해지는 자신을 다시 점검하고 자기 개발을 극
대화하는 합격 후 단계에 정리하였다. 비고의 서브 노트 및 모범 답안은 지식 구조화 단계에서 만
들어지는 가장 값진 산출물이며,서브노트는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한 노트로 정의하고, 모범답안은
예상 문제 중심으로 답안 형식에 맞추어 작성한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知彼知己이면 百戰百勝'

기술사 시험준비를 시작하여 최종 목표인 합격을 얻기까지는 부단한 노력이 투입된다. 흔히 자신
과의 싸움이라고 이야기되는 시험공부는 자신만의 체계화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보상 받게 되는데 그 틀을 잡는 단계인 전략 수립 단계는 자격취득 설계서이자 기초공사로
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단계가 부실한 경우 합격에 걸리는 소요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중도 포기라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전략 수립 단계에서부터
자신만의 특화된 전략을 수립하고 매진하는 것이 최종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자신을 강건하게 유
지시켜준다. 전략 수립 단계는 자신이 처한 환경, 자신의 의지, 자신만의 강점 및 약점 등을 분석
하고 목표 일정을 구체화시키고 시험 공부 방식을 나름대로 정함으로써 전략이 수립된 모습을 갖
추게 된다.


1. 전략 수립을 위한 방법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술사 자격증 취득 목적을 명확히 한 후 자신의 환경을 분석한
다. 또한 자신의 강점 및 약점을 분석 평가한 후 자신과의 계약을 체결한 후 최종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맞는 수험 전략을 수립한다.

가.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목적을 기술한다.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목적은 명확하여야 한다. 아래의 사례와 같이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
본다. 그러면 어떠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지 확인해 본다.

'많은 자격증들 중에서 나는 왜 기술사가 되고자 하는가?',
'기술사 시험공부를 하면서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기술사가 된다면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의 자문을 하고 자답을 해야 한다.

자신이 세운 목적의 타당성도 검토를 해보아야 한다. 즉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하여 주위 선배, 동료들과 대화도 하고 선배 기술사들과 상담을 하면서 목적에 대한 타당성을 검
토해 보아야 한다. 명확한 목적이 타당성을 갖는다면 이를 정리하여 자신이 매일 접하는 곳에 놓
아서 항상 되새기도록 한다. 만약 이러한 목적이 불분명하다면 기술사 자격취득보다는 다른 자격
증을 생각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한두달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 짧게는 반년에서 길게는 1년 이
상을 달력의 빨강색이 있는 날은 홀로 책상 앞에 앉아서 공부한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나. 자신의 처한 환경을 분석한다.

기술사 시험 준비는 장기전으로 지구력을 요구한다. 자신이 처한 환경이 장기전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인가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회사, 가정, 자신의 공부 스타일 등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

'회사에서 기술사를 준비할 수 있게끔 지원을 하는가?',
'기술사자격을 취득할 경우 회사에서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 주는가?',
'가족이 도와줄 수 있는가?',
'적절한 공부장소를 확보할 수 있는가?',
'공부Style이 집중형인가, 정리형인가?',
'주변에서 쉽게 관련자료(전자신문, 학회지, 인터넷 등)를 접할 수 있는가?'

등을 따져보고 이러한 환경이 미흡할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구체화시켜야 한다. 회사
에서 지원이 된다면 십분 활용하여야 하며, 가족에게 선언을 하고 동의를 구하며 집 주변이나 회
사 주변의 조용한 독서실을 구한다든지, 집에서 공부를 심야에 한다든지 하는 결정을 내려야 하고
자료를 구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하여야 한다. 모든 환경이 충족되는 곳에서 공부를 한다면 금
상첨화이지만 그렇지 못한 예비기술사가 많다는 사실이, 혼자만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의
욕을 북돋을 것이다.

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는 것은 공부하는 방식을 결정하게끔 한다. 전공이 전산 관련학과이
면 보다 효율적인 자료 정리 방법을 강점으로 하고 답안 작성에서 미흡한 부분을 만회하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전공이 비전산관련학과이면 실무 경험을 강점으로 하여 기초 전산지식을 확보하
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평소에 프리젠테이션용 보고서 작성 경험이 많으면 답안
작성에서 강점을 가질 것이고 자료 수집 및 정리 분야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Sys-
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간접 경험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
므로 주변에서 프로젝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공부하여야 할 것이며 자신의 글씨체가 좋지 못하
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글씨 연습을 병행하여 시험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자신의 강
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전략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표3-3 전략 수립 사례 >
예비 기술사 A 씨의 전략 수립
(1) 2000년 0월에 실시되는 제 00차 정보처리기술사 시험에 응시하여 최종합격자가 되겠다.
(2) 학회지, 전자신문은 매일 아침 1시간씩 정독하겠다.
(3) 모든 주제에 대해 문제의식과 나의 논리를 갖추겠다.
(4) 주말과 휴일은 가정을 포기하되 합격하면 倍로 보상하겠다.
(5) 열심히 일하는 것도 시험 준비하는 것임을 명심하겠다.
(6) 시험을 보기 전까지 object를 200개 이상 도출하겠다.
(7) 매일 잠자기 전에 그날 익힌 것에 대한 연상을 하겠다.
(8) 글씨연습을 매일 한 페이지를 하겠다


자신의 전략을 수립하면 지금부터는 구체화된 계획수립에 나서야 한다.


2. 일정 수립

시험을 준비하는 기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6개월에서 1년 정도 준비를 하고 시험을 본다.
일년에 2회나 3회의 시험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첫 번의 시험에서 성공을 낚는다면 이보다 좋을
수는 없지만 보통 한 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도전하기 때문에 1년 정도의 시
간이 소요된다. 이를 감안하여 일정 계획을 수립하는데 먼저 수험 준비기간 동안의 중간 목표들을
나열하고 이에 근거한 마스터 플랜을 수립한다. 중간 목표를 나열한다는 것은 최종 목표는 기술사
자격증 취득이고 중간 목표는 전략 수립, 서브노트와 모범답안 작성, 최종 정리 등으로 일정상 확
인 가능한 목표를 식별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마스터 플랜은 각각의 중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활동 내역, 시작일, 종료일, 특이 사항 또는 유의해야 될 사항들이 일정에 따라 정리된 계획서이
며 각각의 중간 목표와 최종 목표와의 거리감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주는 계획서이다. 다음의
표는 마스터 플랜에 대한 설명이다.

<표 3-4 마스터 플랜 수립의 Template>
단계활동시작일종료일확인방법
중간목표들을 기재한다중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해야되는 활동들을 기재한다.시작일을 기재한다.종료일을 기재한다.특이사항이나
이 활동에서 만들어지는 산출물 등을 기재한다.
예)
지식구조화단계
예)
1.자료수집
1)경영기반 정보시스템
2)최신기반 정보시스템
예)
200x.02.01
200x.02.08
예)
200x.02.07
200x.02.14
예)
인터넷활용
기출문제 중심
수집된 자료를
바인더로 분류함



가. 일정 수립 시 유의사항

예비기술사들이 시험에 대비한 일정을 수립할 때 기간 중심으로 계획을 잡는 경우를 많이 본다.
즉 3개월은 자료수집, 3개월 자료 정리하는 식으로 시험 일정까지 남아있는 기간을 보고 몇 개월
단위로 준비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안하는 일정 수립은 철저히 활동 중심으
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료수집에서 인터넷을 활용하여 최신기반 정보시스템 자
료를 1주일에 수집하고, 그 다음주에는 기출문제에서 최신기반 정보시스템 자료를 수집하고 하는
식으로 활동들을 나열한 후 전체 일정을 산정하는 식으로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만약 이
일정이 촉박하다면 활동 내역들을 조정한다든지 기간을 보정하는 식으로 하여 전체 일정을 조정하
면 된다. 일정 수립을 위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무리한 일정은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기술사 시험은 자신만의 특화된 논리로 시험을 보는 것이다. 자신만의 특화된 논리는 준비된 자료
량과 투입한 시간에 비례한다. 자료정리를 위한 기간을 줄이고 기출문제나 다른 분들의 모범답안
을 암기하고 활용하는 식으로 일정을 세우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일정도 없이 수험공부를 하시는
분들도 있다. 결국은 실패를 경험한 후 일정을 부랴부랴 수립하거나 잘 못된 일정을 재수립하는
등의 시행 착오를 겪게 된다.

2) 자료수집기간은 짧게, 자료정리기간은 길게 하라.

기술사 시험은 박사학위를 받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실무 경험과 요소 기술에 대한 자신의 경험,
식견 및 지식을 평가 받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신의 경험, 식견 및 지식은 자신의 논리로 다시 한번 승화 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사
시험은 깊은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식의 심화는 합격 후로 미루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논리는 자료를 정리하면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가급적 많은 시
간을 할애하여야 한다.

3) 2~3일 정도의 여유일정(buffer time)을 확보하라

실적이 계획에 비하여 뒤쳐지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자신감의 상실, 중도 포기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계획을 잡을 때 차이를 보전하기 위한 여유 일정(buffer time)을 삽입하여 두는 것도 좋
은 방법이다. 여유 일정은 공휴일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4) 계획일정 대비 실적일정을 주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일에도 그렇지만 계획과 실행에 대한 평가가 없으면 그 계획은 의미가 없는 계획이다. 결국
무계획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항상 실행 성과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여야 한다.

5) 자신의 환경과 부합되어야 한다.

회사에서의 역할이나 가정에서의 역할 등을 고려하여 일정을 수립하여야 한다. 너무 무모한 계획
을 수립하여 스스로 지치게 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기술사들이 1-2번은 시험에
실패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 치의 20% 이상을 초과하여 계획을 수
립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다음의 예는 6개월 준비 시의 마스터 플랜 사례이다.

<표 3-5 마스터 플랜 사례>
단계활동시작일종료일확인방법
전략수립
목적을 정의일정을
수립전략을 수립
200X.10.1
200X.10.4
200X.10.6
200X.10.3
200X.10.8
200X.10.8
가족에게 선언
팀장 면담
전략수립서 작성
독서실 예약
기출문제에
의거한
자료수집
1. 최근 3년간 자료수집
- 경영기반,
- 최신기반
- S/W공학~IS운영체제
- 컴퓨터구조~네트워크
00X.10.10
200X.10.21
200X.11.11
200X.10.20
200X.11.10
200X.11.25
바인더로 분류
학회지 자료정리

서브노트 및
모범답안 작성
1.서브노트 작성
- 경영기반,최신기반
- s/w공학~IS운영체제
- 컴퓨터구조~네트워크
2. 예상문제 추출
- 모의고사 문제 정리
- 예상문제 정리
3. 모범답안 정리
200X.11.28
200X.12.16
200X.1.4
200X.1.16
200X. 2.1
200X. 2.11
200X.12.1
5200X.12.30
200X. 1.15
200X. 1.30
200X. 2.10
200X. 2.23
서브노트 작성
키워드 생성
모의고사 참여
모범답안 작성
요약정리 이해 및 암기200x.02.28200x.03.11요약정리


3) 자료수집방법

<표 3-8 자료 수집 방법 사례>
1. 전자 신문을 구독한다.
2. 인터넷이 되는 독서실을 확보한다.
3. 정보처리학회지를 구독한다.
4. 학원에 등록하여 자료를 받아본다.
5. 회사의 자료실을 활용한다.


[지식구조화단계]

전략이 수립되면 본격적인 시험 준비 과정에 들어간다.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기본적인 과정이다. 이 과정을 지식구조화 단계라고 부른다. 지식구조화 단계의 목적
은 기술사 필기시험에서 요구되는 답안작성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단계는 주어진 기간동안
얼마나 많은 항목들을 정리하여 자신의 것으로 체계화하였는가에 따라 성패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만의 차별화 된 서브노트를 작성하여 이를 시험장에까지 가지고 갈 수 있어야 하
기 때문에 자료수집 및 정리에 보다 많은 노력이 투입된다.

지식구조화 단계에서의 주요 성공요인은 첫째, 효과적인 정보수집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학원, 인
터넷, 전문 잡지, 신문, 학회지, 세미나 자료 등을 넓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인이 경험하지
못한 것을 간접경험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잡지나 신문을 활용하고, 개요 부분에 쓰이는 이론적
근거는 학회지나 세미나 자료를 활용하고, 그림이나 도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나 세미나
자료를 활용하며, 답안구성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학원자료를 활용하는 등의 자료수집활동을 적
극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집된 정보를 체계화하여야 한다. 자신의 방법으로 체계화하여야 한다. 시험과목별로 서브
노트를 작성하는 것이 방안이라 하겠다.

셋째, 주변인들의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가족이나 회사의 지원을 받으면서 공부하는것처럼 이 세
상에 쉬운 것은 없다.

넷째, 최적의 학습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단 30분을 공부하더라도 집중할 수 있는 장소를 확보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식구조화 단계의 주요활동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표 3-9 지식 구조화 단계의 활동>


도메인 정의에서부터 이해와 암기활동까지는 굳이 시간적 순서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스타일에 맞추어서 병행해도 무방하다. 여기서는 4개의 활동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정리한 것이다.

1. 도메인 정의

기술사법 시행령에 정의된 정보처리분야의 시험 과목은 매우 개론적인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아래의 표에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술사 및 정보통신기술사에 대한 시험 과목을
정리하였다.

<표 3-10 기술사 시험 과목>

분류시험과목
정보관리기술사정보의 구조, 수집, 정리, 축척, 검색 등 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수치 계산
기타 정보의 분석관리 및 기본적인 응용에 관한 사항
전자계산조직응용 기술사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관한 분석 설계 및 구현
기타 컴퓨터의 응용에 관한 사항
정보통신기술사정보통신, 정보통신망에 관한 계획 및 운용, 정보의 검색 및 제공 등 정보통신에 관계되는 정보 전송방식, 정보기기, 정보통신 설비에 관한 사항.


시험 과목에 제시된 내용을 기존에 출제된 시험 자료에 근거하여 정리하면 5개의 시험과목으로 분
류할 수 있다. Digital Service, Digital security, Knowledge Management, Software Management,
Platform Service이다. 이렇게 분류된 시험과목을 도메인으로 정의한다. 도메인 정의는 지식구조
화단계에서 지식 체계화 방법을 제시한다. 자신의 취약한 도메인이 어느 부분인지를 인식하고 이
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토록 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지아이에스의 7개의 도메인 대신에 새로이 5개의 도메인을 분류하였으나, 예비
기술사의 경험에 따라 새롭게 구성해도 좋을 것이다. 여기에서 분류한 새로운 도메인을 세부적으
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Digital Service

hot issue라고 불리우는 Digital Service 도메인은 IT분야에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기술들을 중
심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기술들의 응용이 많다. 주요 구성 항목들은 e-biz
기술, 인터넷, 무선 모바일 기술이다. 이 분야는 최근에 많이 출제되는 분야이며 특히 1교시에 단
답형 문제로서 출제되기에 적합한 문제들이 많다. 최신 기반기술이 포함되기 때문에 기술 구성요
소나 구축방안, 문제점을 중심으로 공부를 하며 향후 추세에 대한 의견제시가 있어야 한다.

이들에 대한 자료수집은 인터넷상에 있는 벤더들의 자료실이나 관련신문, 세미나자료등에서 확보
하여야 하며 그림이나 도표를 많이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2) Digital security

정보보호산업은 다른 기술분야의 우산 속에서 점차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고, 그 중요성 또
한 매우 커지고 있다. 최근의 시험경향을 보면 정보보호 기술이 다른 분야의 도메인의 일부로서
출제되곤 했었지만, 이제는 그 자체가 별도의 도메인으로 분류를 해야 될 정도로 영역이 커졌으며
출제빈도도 높다.

Digital security는 정보보호 관련 기술의 총칭으로 암호화부터 시작하여 저작권, e-biz의 정보
보호까지를 폭 넓게 다루고 있는 도메인이다. 주요 구성 항목들은 암호화, 보안, 네트워크 보안,
저작권, 전자 화폐, 전자지불 등이다.

이들에 대한 자료수집은 정보보안과 관련된 기본 서적을 중심으로 하고 정보보호관련 정기간행물
이나 인터넷, 신문, 세미나 등의 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각 요소기술별 특징을 구분하고 이해하
고 있어야 한다.

3) Software Management

Software Management 도메인은 IT산업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하는 소프트웨어공학 중심의 도메인으
로 프로젝트 관리, 품질, 감리 및 프로젝트 방법론 등과 현장에서의 실무경험을 요구하는 도메인
이다. 이론이 현장에 접목되어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는지를 짚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시험문제가
출제되곤 한다. 이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본서적을 한 두 권 정도 읽어볼 것을 권고한다. 컴포넌
트 방법론이나 UML을 활용한 객체지향 방법론은 이미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으므로 구현사례를 프
로젝트에서 찾아서 자료화 할 필요도 있다.

감리와 관련된 자료는 한국전산원의 홈페이지에 있는 자료실에 들어가면 연도별 보고서들을 무료
로 다운받을 수 있는데, 양이 방대하지만 그 자료들을 읽어보는 것은 IT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
의 기본적인 자세가 아닌가 싶다.

품질의 최근의 경향은 CMM, SPICE 등을 중심으로 가고 있다. 자료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서점가
에 관련 서적들이 나오고 있지만 외국 번역서가 많고 양이 방대하여 인터넷에 의존하는 것이 좋다.
Software Management 도메인은 기술사의 기본 요건이므로 항상 문제가 출제되는 것을 예상하여야
하며 기본문제 및 실무사례 등의 준비가 요구된다.

4)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도메인은 비즈니스 업무영역과 정보시스템의 결합을 정의하고 있다. 기업조
직의 효율화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보 기술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도입되었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주요 구성 항목들은 MIS, ERP, CRM, SCM, KMS,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술
이다. 최근에는 e-business 기술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종류들을 만들고 있다.

이들에 대한 자료수집은 정보처리학회지와 관련신문, 잡지 및 각종 세미나 자료에서 확보하여야
한다. 여기서 관련신문은 전자신문, IT TIMES, 디지털 타임즈 등이다. 시험 준비방법은 종류별 개
념을 이해하고 비교표를 만들어서 대비해보는 것이며 정보시스템의 구축방법에 대한 실무 경험도
확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경우에는 기본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최신 동향들
(DW, Data mart 등)을 다른 도메인과 연관지어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것이 좋다.

5) Platform Service

이 도메인은 깊게 공부를 하여야 할 분야이면서도 시간적으로 무리가 따르는 분야이다. 국제적인
표준싸움이 치열하기도 하고 자료가 국내자료보다는 외국자료를 중심으로 보아야 하는 것도 많아
서 기존에 나와 있는 기출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정리를 하고 추세나 각각의 요소기술을 정리하고
비교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주요 구성항목은 미들웨어, 네트워크, 컴퓨터구조이다. 미들웨어 분야는 중점적으로 정리를 하여
야 한다. 이 분야의 자료는 인터넷, 관련 신문이나 잡지, 학회지 등이 유용하다.

컴퓨터 구조는 정보처리관련학과를 전공으로 하신 분들은 자료를 정리하는 수준이 되겠지만 비전
공자들에게는 크게 어려운 도메인이다. 중앙연산장치와 기억장치를 중심으로 출제가 많이 되었지
만 최근에는 출제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과거의 기출문제 중심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으며 모의고
사에 자주 출제되는 컴퓨터구조관련 문제를 정리하여야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는 인터넷과 관련된 네트워크 기술들과 무선과 관련된 네트워크 기술들이 중
심에 있는 분야이다. 주요 추세를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는 것이 좋은 방법
이다. 정보처리분야의 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보통신 기술사에서 네트워크 관련된 부
분을 거의 소화하기 때문에 많은 공부가 요구되지는 않지만 기본적이고 자주 출제되었던 문제들이
종종 나오는 경우가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다음은 각 도메인별 출제 경향이다.

<표3-11. 도메인별 출제경향>
새로운 OBS기존 OBS
Digital service최신기반기술
Digital security정보보안
Software management소프트웨어 공학
Knowledge management경영기반 정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Platform serviceIS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
네트워크


도메인이 정의되면 개인별 특징에 따른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 전공과의 유사성에 따라, 혹은 자
신이 맡은 분야와의 유사성에 따라 준비과정이 다를 수 있다고 보며 또 달라야 한다고 본다. 그렇
지 않고 남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다 보면 실패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전산전공자는 기본적인 과목 분야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되어있기 때문에 비전산전공자보다 유리하
며 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시간을 절약하여야 한다. 기본적인 과목인 경우 바로 서브노트를 정리하
고 답안작성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비전산전공자인 경우에는 기본적인 과목에 대하여 아
주 깊게 공부하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자주 출제되고 중요하다고 판단된 문제 위주로 공부하는 것
이 좋다. 예를 들어 컴퓨터 구조를 보면 중앙연산장치에 대한 공부는 어렵지만 이 중에서 마이크
로 연산과 관련된 CISC나 RISC는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정리해 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시간투자와 결과를 비교하여 득보다 실이 많은 문제는 포기하고 다른 과목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실무분야와 유사한 과목은 자신의 견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차별화된 답안을 작
성하여야 하고 그렇지 못한 분야는 자신의 현수준과 상황을 고려하여 중요문제위주로 집중 투자할
것을 권한다.

나. OBS별로 자료정리

1) OBS(Object Breakdown structure) 정의

도메인을 구성하고 있는 항목들을 구조적 방식으로 체계화한 것을 OBS라고 한다. 도메인 정의는
지식체계화를 위한 기초이며, 이 기초 위에 수백개의 벽돌을 쌓아 올리기 위해서는 각각의 벽돌들
즉 항목들이 어떠한 연관 속에서 구성되어 있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분류화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OBS는 각 항목들간의 연관성 이해를 top down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도와준다.

자신이 알고 있는 어떤 지식이 전체 구조 중에 어디쯤에 해당하는지, 그 지식은 인접한 지식과 어
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OBS를 잘 이해하고 답안작성 훈련을 많이
한 경우라면 모르는 문제가 나와도 답안의 기본 골격을 유지하면서 답안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2) OBS 작성방법

OBS의 작성방법은 먼저 도메인 별로 구성항목을 세분화하는 것이다. Knowledge Management 도메인
의 구성 항목을 나열하면 MIS, DSS, CALS, ERP, CRM, SCM, 등의 항목들을 모두 식별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기출문제 중심으로 항목들을 분류하는데 최근 3회분을 중점 관리한다. 최근의 추세를 알
고 다음 시험에서 예상되는 항목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3회 또는 2년간의 기출문제를
정보관리, 조직응용 구분 없이 분류하여 중요도를 확인한다.

세번째는 전체 OBS항목을 정리하는 것으로 도메인 별로 정리하여 총 200개 이상을 추출한 후에 각
OBS간의 연관성과 중요도를 파악하는 것이다.(先線後點)

이 작업을 그림을 그려가면서 정리하면 효과적이다.

<그림 3-1. OBS연관도>


3) OBS 분류표 사례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OBS분류표는 저자가 공부할 때 만들었던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예비기술사들께서도 나름대로 OBS를 분류할 때 참조하기를 바란다.
(중요도는 편집상 표기하지 않음.)

<표3-12. OBS 분류 사례>
Knowledge Management 도메인
Level 1 Level 2 Level 3Level 4중요도
Knowledge
Management
경영정보시스템
경영지원시스템
MIS
DSS
SIS
EIS
ESS
CALS
ERP
XRP
CRM
e-CRM
SCM
e-SCM
ASP
KMS
MRO
지식맵


4) 선선후점(先線後點)

OBS가 작성되고 나면 각각의 OBS에 대한 선선후점을 엮어보는 작업을 시도해 본다. 선선후점 방식
은 각 OBS 의 수직적 연관성과 수평적 연관성을 구분하여 OBS의 위치를 가늠하게 하며 이것이 눈
에 들어오면 출제된 문제에 대한 출제자의 의도와 답안작성의 방향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Ob-
ject web이 출제되면 이 문제에 대한 출제자의 의도를 미들웨어에서 생각을 하고, CORBA와 JAVA등
과의 연관성 속에서 답안작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선선후점을 엮는 방식은 먼저 각 OBS를 정렬
하여 다음 표의 어느 유형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표3-13. OBS 유형>
번호 유형 중요도
1
2
3
4
5
- steady하게 출제된다
- 점점 확대,심화되고 있다.
- 점점 사라지는 추세이다.
- 돌연변이식으로 출제된다.
- 가끔 나온다.


두번째로 각 OBS가 수평적 확장인지, 수직적 심화인지를 구분한다. 수평적 확장은 관련항목이 계
속 나올 수 있는 것으로 ERP에서 확장ERP로 발전해가는 것을 보는 것이며. 수직적 심화는 추상화
수준이 보다 상세하게 되는 것으로 객체지향 방법론에 대한 내용이 보다 실무적인 사례가 나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수직적 심화인 경우 그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는 것도 중요하다.
빠른 속도인 것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세번째로 최근의 기술 트랜드와의 연관성을 파악한다. 기술 트랜드와 연관이 많으면 역시 중요도
가 높다고 인식할 수 있다.

선선후점 작업은 시험대상영역을 고도화시키는 일면과 다른 면은 이를 제 3자에게 표현할 수 있는
답안 작성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선선후점방식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3-2)와 같다.


<그림 3-2. 선선후점 개념도>


ISO12207을 예를 들어보자. ISO12207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모형으로 ISO/IEC JTC1
/SC7/WG7에서 만든 모형이다. 이는 소프트웨어 품질개념이 최상위 개념이고 연관개념으로 SPICE,
인접개념으로는 ISO9126, 상위개념은 ISO9000, 하위개념은 없다.

<그림 3-3. ISO12207 개념도 사례>


자주 출제되는 문제를 150여 개에서 200여 개의 OBS를 선선후점으로 묶고 연관도를 파악하면 어떤
문제가 출제되더라도 그 문제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질 것이다.

다. 서브노트 작성

보통 시험을 볼 때 백 점짜리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꿈이라 할 수 있다.
간단한 단답형 문제도 아니고 주어진 100분동안에 얼마만큼의 논리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술사 시험은 꿈을 달성하려는 사람들의 갖가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최상의 답안을 작성
하기 위해서는 OBS별로 각 문제에 대한 나름대로의 답안을 작성하고 이를 이해하고 외우고 연습하
여 시험을 보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 져 왔다. 아마도 이것은 지금과 같은 시험관련 체계가
향후 몇 년간 지속된다면 최소한 그렇다. OBS별로 최 상의 답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료수집이 선
행되어야 하고 자료정리가 그 뒤를 따른다.

1)자료수집

자료의 원천은 첫째 시험과목별 기본교재나 대학 논문집, 둘째 학원강의시의 자료, 셋째 컴퓨터
잡지, 학회지, 관련신문, 넷째 세미나 자료, 제안서, 기술보고서 등이다. 이 자료 중에서 학원자
료나 전자신문 등의 자료는 OBS의 기초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교재로서는 충분하지만, 다른 예비기
술사들에게도 많이 공개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세미나 자료나 기술보고서 등은 도표나
그림 등에 대한 특화된 내용이 있으며 부지런히 발품을 팔아야 획득할 수 있기에 자료로서는 중요
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외에 수험전문서 로서 나온 책들이 있다.

<표3-14. 자료수집을 위한 reference 사례>
분류자료원천
기본 교재
1. 경영기반 정보시스템 -- 경영정보시스템, any
2. 기반 서비스 -- CALS / EC, 이남용, 법영사
3. 소프트웨어 공학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관리론, 여호영, 홍능과학출판사
소프트웨어 공학론(상,중,하), 이주헌, 법영사
객체지향 정보관리론, 여호영, 대영사
Software Engineering, Pressman, Mcgraw hill(소프트웨어 공학, 유해영역, 희중당)
4. 정보 통신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정진욱, ohm사
5. 데이터베이스 --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데이터베이스론, 이석호, 정익사
의뢰자 제공자 데이터베이스, 문송천, 집현전
6. IS 플랫홈 --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7. 컴퓨터 구조 --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병렬컴퓨터 구조론, 김종현, 생능
8. 수험서 -- 정보처리 기술사 코스웨어, 여호영, 도서출판 마음의 고향
정보기술총서,삼성기술사회
정보처리 기술사 핵심노트, 김채미,이혜림, 엔젤미디어
관련학원(주)지아이에스 (www.gismind.co.kr) 한국정보통신 기술사협회
추천간행물
정보통신신문 - 전자신문사
주간기술동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저널 - 통신저널사
한국통신 경영과 기술 - 한국통신
한국통신학회지 - 한국통신학회
네트웍타임지
전자신문 - 전자신문사
정보과학회지 - 정보과학회
정보처리학회지 - 정보처리학회
월간 경영과 컴퓨터 - 경컴
추천사이트
1. 관련기관/협회
정보통신부(http://www.mic.go.kr/)
과학기술부(http://www.most.go.kr/)
한국전파진흥협회(http://arom.etri.re.kr/htdocs/rapa/rapahome.html)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http://www.tta.or.kr/)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http://www.ccpak.or.kr/)
한국정보산업연합회(http://www.fkii.or.kr/)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http://www.sw.or.kr/)
2. 위원회/센터
정보통신윤리위원회(http://www.icec.or.kr/)
한국소프트웨어지원센터(http://www.software.or.kr/)
한국정보보호센타(http://www.kisa.or.kr/)
한국정보문화센터(http://www.icc.or.kr/)
한국인터넷정보센터(http://www.krnic.net/)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http://www.dpc.or.kr/)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http://www.kmec.net/)
3. 연구소/학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http://www.kisdi.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http://www.etri.re.kr/)
한국전산원(http://www.nca.or.kr/)
한국산업표준원(http://www.kisi.or.kr/)
시스템공학연구소(http://comso.etri.re.kr/)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http://www.icu.ac.kr/)
정보통신연구관리단(http://www.iita.re.kr/)
한국정보법학회(http://bora.dacom.co.kr/~kafil)
인터넷 정책학회(http://kips.sarang.net/)
개인 홈페이지
류구희님 (http://sitman.pe.kr/eit_pe.html)
윤양회님 (http://home.hanmir.com/~yyhckh/)
김채미,이혜림님 (http://www.ktnet.com/~cmkim)
정삼용님 (http://www.samsungsds.pe.ke)
김연희님 (http://members.tripod.lycos.co.kr/kyh232)
추천 reference김채미님 홈페이지 refernce(http://www.ktnet.com/~cmkim)


2) 자료정리

자료정리는 기술사 자격취득을 위한 CSF(Critical Success Factor)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수집
된 자료를 중심으로 양보다는 질 위주로 서브노트에 자료를 정리하여야 한다. 서브노트는 대학 노
트 크기이고 분량은 한 OBS당 4페이지를 할당한다고 하면 대략 800여 페이지를 준비하여야 한다.
기본교재를 활용할 때에는 중심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하는 식으로 하여야 한다. 즉 기본교재가 대
학 교재인 경우 한 권을 읽는데 보통 2~3개월이 걸린다. 이런 식으로 읽으면 생산성도 저하되고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른 방식으로 읽어야 한다. OBS와 관련 있는 부분만을 읽고 정리하는
것으로 여타의 부분은 넘어가는 것으로 하여 서브노트에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야 한다. 흔히 많이
사용되는 서브노트를 작성 3단계를 예시 하겠다.

1단계 : 하나의 object에 대하여 3~4개의 자료를 읽으면서 keyword에 형광 표시를 한다.
2단계 : 표시해 놓은 것을 정서하지 말고 일반 연습지에 그냥 적는다.
3단계 : 적어놓은 자료를 정리한 후 서브노트에 정서한다.

그림이나 표는 복사하여 서브 노트에 붙여 넣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object들을 정리하면 자신
의 답안작성능력이 향상될 수 있지만, 초기에는 서투른 자료정 리와 서브노트 작성능력 미흡으로
인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서브노트 작성은 바로 답안작성 훈련이라는 점을 유념하고 지속적
인 노력을 한다면 나중에는 훨씬 나아진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자료 정리시 유의사항으로 첫째는
Key word, 한자, 영문 등을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 잘못된 영문이나 한자의 사용은 당연히 채점
시 감점 사항이다. 둘째는 용어정리는 서브노트를 정리하기 전에 목록화한다. 가능하다면 용어사
전을 만들어서 정리하는 것이 좋다. 하나의 용어에 대한 다른 기술분야에서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용어사전에 다른 관점의 정의를 모두 작성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세번째는 모
든 참고자료를 통해 총괄적,포괄적으로 집중 정리하는 것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서브 노
트에는 많은 내용을 담아두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네번째는 그림과 도표는 해당 자료에서 복사하
여 붙여넣고 직접 그려보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참고 한 자료의 명을 기재하여 나중에 재
참조시 도움이 되도록 한다. 서브노트에 작성된 object들은 일단 본인 스스로 작성한 것이기에 기
억에 오래 남는다. 또한 그 서브노트는 지속적으로 update되어야 하는 것으로 최종 목적은 자신만
의 특화된 서브노트를 갖는 것이다. 이 노트에 의하여 모범답안을 충분히 작성할 수 있고 다른 분
들이 작성한 서브노트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취약한 부분을 빠르게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서브노
트의 구성 예를 보면 해당 object에 대한 참조자료명, 기술에 대해 자신이 정리한 내용, 주요 key
word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이 참조한 내역은 모두 기술하여 나중에 재참조시에 도움이 되도록 하
여야 한다. 또한 노트는 분리식으로 준비하여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는 object는 빼내고 새로운
종이에 다시 정서하여 끼워넣도록 한다.

<그림 3-4 서브노트 작성 사례>
IDC(Internet Data Center) - '정보기술 10가지' 한국전산원 자료 : 2000.8.17 수집 - 인터넷 URL 주소 : www.xxxx.xxx 2000.8.17 수집 - 주요 Keyword : 아웃소싱, cp, 백본통신망, isp, 265일 24시간 서비스, 방재시설. IDC란 : 공공기관, 학교, 개별기업의 서버와 통신장비의 운영,관리를 대행하는 곳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정보통신시스템을 IDC에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서비스 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공받고, 서버와 통신장비의 관리, 운영을 위한 기술 적, 인적 부담을 줄여 경제적으로도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음 IDC 주요 서비스 : IDC 개념도 : <그림>


서브노트를 만들고 나면 이제는 모범답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기출문제와 최근의 트랜드를 중심으
로 예상 문제나 자신이 취약한 object에 대하여 모범답안을 작성한다. 모범답안도 처음에 작성할
때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차츰 시간이 갈수록 빨라지며, 이를 통하여 실전과 같은 답안작성
훈련도 하는 것이기에 예비 기술사들은 반드시 해야 하는 활동이다.

object별로 정리되는 모범답안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그림 3-5 모범 답안 구성 사례>
(1) 개요 정의, 등장배경, 필요성, 중요성 등 (2) what(그림이나 도표) 특징, 구성, 구조, 기능, 단계, 절차, 유형, 사례 (3) how 구축방안, 고려사항, 응용분야, 문제점 및 해결방안 (4) 기타(그림이나 도표, 비교표) 평가, 기대효과, 장단점, 동향, 표준화 (5) 결론(마무리) 발전방향, 향후전망, 결언(나의 의견)등


모범답안이 활용되는 곳은 학원에서 보는 모의고사이다. (자신이 직접 보는 모의고사의 경우도 마
찬가지) 학원 모의고사를 볼 때, 자신이 작성한 모범답안의 내용을 기술하여 기술사분들의 채점결
과를 확인하고 자신이 취약점을 보완한다. 모범답안에는 포스틱을 사용하거나 형광펜을 사용하여
keyword나 key expression을 강조하여야 하며 이렇게 강조된 keyword는 시험당일에 훓어 볼 수 있
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최근의 출제경향과 기술 트랜드 에 비추어 출제가 예상되는 object
들의 모범답안만을 별도로 관리하여 출퇴근시나 자투리 시간에 보는 것도 중요하다.

라. 이해와 암기의 중요성

서브노트와 모범답안을 작성하고 나면 남아있는 시험기간은 3주에서 2주이다. 이때부터는 새로운
지식이나 더 깊은 공부를 하는 것은 무리이며 자신이 정리한 모범답안을 중심으로 이해를 하고,
암기를 하여야 한다. 시험을 경험하신 예비기술사들은 알겠지만 암기만 해서 시험장에 간다면 막
상 아는 문제가 나와도 충분히 쓸 수가 없다. 이는 인간두뇌의 한계이자 OBS 200여개 이상을 암기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설사 암기한 내용이 문제로 출제되었다 할지라도 시험장에서 해당 내용
을 모두 표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해 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해된 내용에 대한 파악이
있어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해가 된 OBS를 암기하는 방법은 첫째, 서브노트 내용 (용어 및
서브노트)에 대한 중요내용을 반복하여 암기하는 것이다. 밑줄을 친 것이나 포스틱을 붙인 중요
내용을 매일 지속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둘째는 내용을 그림, 부호, 첫 글자 등으로 한 연상
문장(sentence)화 하여 암기하는 것이다. (고시생들은 두문 방식의 암기법을 애용한다고 함.) 예
를 들어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하면 "기신사효유이" 와 같이 외워서 이런 문제 나오면 기능성, 신
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등으로 쓰는 것이다. 세번째는 현장경험이나 수행업무
를 연상시키는 암기가 효과적이다. 네번째는 간접경험을 개인 자료화하여 마치 자신이 직접 수행
한 것처럼 쓸 수 있어야 한다. 많은 자료에 대한 간접경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겠다. 마지
막으로 화장실, 출퇴근시 필사적으로 암기하는 것으로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고 시간을 창출
한다고 생각하고 하여야 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3-15. OBS의 내재화 방법>
서부노트의 중요내용 반복 암기 최소요약 내용을 그림, 부호, 첫 글자 등으로 한 연상 문자(sentence)화 현장경험이나 수행업무를 연상시키는 암기가 효과적 간접경험을 개인 자료화 화장실, 출퇴근시 암기한다.


어떤 분들은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무조건 암기하라는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이해할 수 있
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해당 OBS에 대하여 자신이 없는 경우에 활용하고 최소한으로 할 것을 권한
다.

[점검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3.asp

시험보기 2주전을 마무리단계 또는 점검단계라고 부른다. 점검단계의 주요 활동은 일별 계획을 확
인하고, 서브 노트를 읽어 보고, 모의고사를 치루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또한 시험보기 1주일전에는 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마무리에 도움이 된다.

1. 일별 계획을 확인한다

남아있는 일정동안 마무리 계획을 수립하고 매일매일 해야 될 일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예상문제
를 도출하고 이 예상문제를 시험보기 전까지 어떤 방식으로 보고 갈 것인지를 계획을 세워 정리해
나간다. 하루에 몇 개의 object를 본다는 식으로 실적 중심으로 계획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

2. 서브노트를 확인하고 모범답안을 암기한다

자신이 직접 작성하고 정리하였던 서브노트는 자신의 머리 속에 그 형태가 들어가 있을 것이다.
OBS 순서, 각 OBS의 그림과 도표, 스스로 작성한 향후 전망이나 의견 등을 처음부터 끝까지 보면
서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범답안을 암기하고, 예상 문제의 경우는 하루에 몇 문제씩 답안을
작성하면서 최종 점검을 한다.

3. 모의고사 실시

학원에서 치루거나 혹은 개인이 만든 모의 문제를 실제 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시간을 정하고 보
는 모의고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에 출제되는 문제들 중 일부가 시험문제에 나오는
경우도 있고 자신이 작성한 답안이 기억에 남아서 필기시험에 도움이 됐던 사례도 있다. 또한 모
의고사를 보고 난 후에 채점한 내용을 보면서 취약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한다. 많은 모의고사를 통해서 현재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권한다.

4. 새로운 내용에 시간을 빼앗기지 말 것

준비한 서브 노트 중에 아직까지 공부하지 않은 것이 많이 있으면 문제이지만 안심이 안되어서 더
깊이 공부해서 정리하려 하거나, 새로운 내용에 대하여 object로 등록하고 정리하려 하는 것은 가
급적 지양해야 한다. 새로운 것에 시간을 주는 것보다 그 동안 준비한 것을 깔끔히 마무리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5. 하루 전 활동

시험보기 하루 전날은 정리를 9시 전에 마치고 시험장에 가지고 갈 준비물을 확인한다. 준비물은
수험표, 신분증, 볼펜 4자루(매교시 한 자루씩), 템플리트 자, 휴지, 서브노트, 모범답안, 필요시
방석 등이다.

볼펜은 검정색으로 굵은 두께(1.2mm)의 것을 준비한다. 시험장까지의 교통편과 시간을 확인하고
아침 기상 시간을 정한다. 가볍게 읽을 거리를 보고 자는 것도 두뇌 활동과 긴장을 푸는 것에 도
움이 된다.

[필기 수험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4.asp

필기시험에 대한 것은 앞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답안작성방안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시험장에서의 대처

시험당일에 가벼운 아침식사를 하고 시험장에 최소한 1시간 전에 도착한다. 좌석을 확인하고 준비
해온 서브노트나 모범답안을 읽어본다. 만약 좌석의 위치가 안 좋다고 판단되면 바꾸어줄 것을 요
구하여야 한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모의 답안지에 한 페이지 분량만큼을 써보는 것으로 긴장을
풀어본다. 시험 시작 전에 시계와 템플리트 자, 시험표와 신분증 등의 필요 지참물을 확인한다.

시험지를 받으면 답안지의 매수를 확인하면서 수험번호와 성명 등의 요구되는 사항을 기재한다.
매 교시 시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확인하면서 매 문제 당 작성해야 하는 시간을 확인한다. 9
시부터 10시 40분까지 진행되는 1교시의 경우에는 9:00~9:10, 9:11~9:20, 9:21~9:30, 9:31~9:40,
9:41~9:50, 9:51~10:00, 10:01~10:10, 10:11~10:20, 10:21~10:30, 10:31~10:40 식으로 시간을 적
어넣고 대비한다.

<그림 3-6. 답안구성 사례>


가. 1교시 시험 대처 방안

1교시 시험의 전략을 반드시 세우고 문제를 풀어야 한다. 문제지에 제시한 요구 사항에 따라 문제
를 풀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0문제 이상(주로13문제)에서 10문제를 선택하고 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12페이지를 채우는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 1교시 시험 문제를 푸는 전략
으로는 10개의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경우라면 4개의 문제는 1.5 페이지를 할당하고 나머지 문제는
1페이지씩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2개의 문제를 2페이지로 작성하고 나머지 8문제를 1
페이지씩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답안지의 번호 부여는 전체 답안에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I, 가, 1), - 방식이면 무난하다.

그림과 도표 등을 매 문제에 포함시키되 그림의 경우 1교시의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을 감안하여야 한다. 또한 그림이나 도표가 차지하는 줄 수는 7~8줄이 가장 적합하다.

각 문제의 답안작성이 끝나면 "끝"이라고 쓰고, 다음 문제 기재시 2줄 띄우고 다음 문제를 기재하
며 최종 해답 시에는 다음 줄에 "끝"이라고 쓰고 여백이 있을 경우"이하여백"이라고 기재한다. 답
안지는 전체적인 윤곽이 꽉 찬 느낌이 들도록 작성한다. 그러므로 키워드 중심의 개조식 답안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글자는 크고 정성스럽게 작성한다. 그러나 시간
에 쫓기면서 답안을 작성할 경우 글씨가 엉망이 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시간안배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답안지에는 답안 구성시 고려해야 하는 정렬선이 미리 그려져 있으므로 이 정렬선에 맞추어
작성을 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답안을 일류적으로 정의, 필요성, 특징, 기술요소, 장단점, 향후전
망 등으로 기술하는데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문제에 따라서 필요성, 기본 개념, 기존 기술의
문제점 등을 통하여 왜 해당문제에 해당하는 기술이 나타나게 되었는지 밝히고, 해당 문제에 대한
주요 관심 사항을 쓰는 방식으로 답안을 작성한다. 또한 1교시에는 향후전망 등의 내용을 굳이 넣
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시간 배분 전략은 1문제 당 소요시간은 10분으로 2분 동안 답안구성을 구상한 후 8분 동안 작성하
는 것이 좋다. 1교시에서 작성한 답안이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나머지 교시에서 만회할 수 있는 기
회가 충분하므로 포기하지 않고 차분하게 다음 교시를 준비해야 한다.

나. 2,3,4 교시 시험 대처 방안

2교시 이후의 답안 작성 전략을 사전에 구상해야 하는데 마찬가지로 문제에서 지시한 방법으로 답
안을 작성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4문제 이상의 문제를 제출하고 4문제를 선택하여 푸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4문제를 푸는 경우에 각 문제 당 25점의 배점이 주어졌다면 한 문제 당 3페
이지씩 12페이지를 채운다 또한 각 문제 당 20점인 경우 반드시 5문제를 선택하고 2에서 2.5페이
지씩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우고 12페이지를 채운다.

1교시와 마찬가지로 각 문제의 답안작성이 끝나면 "끝"이라고 쓰고, 다음 문제 기재시 2줄 띄우고
다음 문제를 기재하며 최종 해답 시에는 다음 줄에 "끝"이라고 쓰고 여백이 있을 경우 "이하여백"
이라고 기재한다.

그림과 도표 등을 매 문제에 포함하되 복수의 표와 그림이 들어가도록 하여 답안지 작성하는 시간
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수험 전략이다. 2교시 이후의 답안 작성은 출제자의 입
장에서 문제를 보아야 하고 채점자의 관점에서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술이 무엇(what)인지 큰 그림을 그려보고, 왜(why) 그러한 기술이 필요하고
어떤 배경하에서 탄생되었는지를 생각한다. 또한 그 기술을 구성(how)하는 요소 및 구성방안을 통
해 문제에서 묻는 핵심을 정리한다. 가능하면 사례나 경험을 기술하여 자신이 해당사항에 대한 전
문가임을 과시하도록 한다. 답안에 문제점이나 장단점을 표로 정리하여 삽입하면 특화된 답안지를
만들 수 있으며, 결론 부분에는 향후 발전 방향과 같은 개인의 전문적인 의견을 추가하여야 한다.

결론 부문에서 남들과 차별화된 내용을 넣기 위해서는 실무 경험을 기술하거나, 최근의 통계자료
를 출처와 함께 제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기술과의 연관성 속에서 발전 방향을 기
술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답안지 작성 방법은 1교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윤곽이 꽉 찬 느낌이 들도록 작성하고
글자는 크고 더욱더 정성스럽게 작성해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팔의 힘이 빠지면서 글씨가 잘
안써지므로 글씨 쓰는데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25점 짜리 문제의 경우 1문제 당 소요시간은 25분으로 답안구상에 5분에서 7분을 사용하고 15분에
서 20분 동안 작성하는 것이 좋다.

<그림 3-7. 2교시 이후 답안구성 사례>

I. 개요 정의, 등장배경, 필요성, 중요성 등 II. what 특징, 구성, 구조, 기능, 단계, 절차, 유형 III. how 구축방안, 고려사항, 응용분야, 문제점 및 해결방안 IV. 기타 평가, 기대효과, 장단점, 동향, 표준화 V. 결론 발전방향, 향후전망, 결언(나의 의견) 등을 제시


2. 답안작성 5대원칙

가.적확성(適確性)

출제의도의 적확한 파악으로 초점을 좀 더 명확히 하여야 한다. 출제된 문제는 출제자가 볼 때에
는 현재 이 문제가 해결 안으로서 매우 타당하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이 문제가 해결안이라면 어떤
문제가 있었기에 이 문제를 다루었는지를 생각해 본다면 답안작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출제자는
출제와 동시에 채점자에게 채점 기준표를 작성하게 되어 있으며 출제자의 의도를 적확하게 본다는
것은 바로 채점 기준표를 보면서 답안 작성을 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 된다.

나.유용성(有用性)

유용성은 응용력의 구사이다. 즉 시험자가 작성한 답안이 기술 용역 제안서라고 보고 이 제안서를
클라이언트(채점자)가 신뢰하게 되어 계약을 체결하는 정도의 힘을 가진 답안이 되어야 한다. 좋
은 답안은 클라이언트가 투자 마인드를 확고히 가지고 투자를 결정하는 수준이 되어야 하며 그러
기 위해서는 그 문제에 대한 응용능력수준을 높게 제시하여야 한다.

다.논리성(論理性)

답안의 흐름에 있어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도입부에 있는 내용과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내용과는
어떠한 연결성이 약하다면 일관성이 낮다고 봐야 한다. 논리성의 핵심은 제시하고자 하는 내용이
어떠한 과정을 밟았는지를 보여 주여야 하는 것으로 과대평가되거나 주관적 견해가 객관성과 멀다
면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 것이다. 또한 논리성 있는 답안은 채점자에게 예측력을 보여주어야 한
다. 채점자들이 볼 때 이러한 흐름으로 간다면 다음 단락은 무엇이 나오겠구나 하는 예견성을 주
기 때문에 채점하는 데 별로 힘들이지 않고 채점을 하게 된다.

라.전문성(專門性)

전문성을 제시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며 특히 약어에 대한 풀이 부분이
정확하다든가, 표에 써넣은 내용이나 그림에 부가되어 있는 용어들이 정확하면 그만큼 신뢰를 얻
게 된다.

마.독창성(獨創性)

채점기준에 있어서 가장 가중치가 높은 부분으로 생각된다.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과 해
결할 수 있다는 응용력을 독창성 높게 제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학원에서 보내준 그림들은 이
미 알려진 그림이므로 새로운 그림을 제시하거나 향후 전망에서 자신의 의지를 실무경험과 함께
보여줌으로서 독창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답안작성 요령

가. 출제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핀 포인트가 맞는 답안이어야 한다.

나. 문제유형에 맞는 답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설명형 문제의 경우는 그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서론을 시작해서 블랙박스 내부를 집중적으로
기술한다. 반면에 논술형 문제인 경우는 그 문제에 관한 필요한 모든 이론을 동원하여 원하는 결
론을 이끌어낸다. 관련 이슈를 많이 나열하고, 본인의 생각을 꼭 첨부하여야 한다.

다. 채점자를 위한 답안이어야 한다.

글씨가 깨끗하고 정성스러운 답안으로, 준비를 많이 한 답안으로 보여야 한다. 답안이 한 눈에 들
어와야 한다. 중요한 핵심이 그림이나 도표로 만들어져 메시지가 쉽게 전달되어야 한다.

라. 본인의 특별한 경험이나 사상이 숨쉬는 답안이어야 한다.

마. 지우거나 정정을 할 때에는 두 줄로 하는 것이 규칙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눈에 빨리 뜨
이며 답안 설계가 덜 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바. 특수기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특수 기호를 사용할 경우 채점자와의 암호 표식으로 오해 될 수 있으므로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된
다.

사. 용어는 일관성 있게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한 답안에 시험, 테스트, test, testing 등으로 여러 가지 단어를 사용한다면 별로 좋
은 인상을 주지 못할 것이다.

아. 영어를 쓸 경우 인쇄체 소문자가 무난하다. 단 약어는 인쇄체 대문자이다. 또한 공식적인 약
어를 사용하여야 하며, S/W나 H/W, N/W등은 공식약어가 아니다.

자. 결론부분에 대한 일반적인 처리방식은 주제의 현재 기술 수준과 그 방향이 앞으로는 어떠한
측면이 중점 고려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그렇게 된다면 어떠한 효과나 기술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는 식의 견해를 제시하는 식이다.

차. 졸필이고 글 쓰는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되면 답안 작성의 분량을 최소화하면서 엑기스만 구조
적으로 나열하는 전략이 좋다. 반대의 경우는 엑기스를 잘 나열하기가 어렵고 대신 보기 좋은 글
과 속필이 가능한 경우로 답안지의 대부분을 채우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카. 문제 당 할당되는 시간은 각 문제에 할당된 점수에 0.8을 곱한 시간의 분을 해당 문제의 답안
작성에 배분한다.즉 10분짜리 문제인 경우는 답안 구상에 2분, 답안작성에 8분을 할당하고 25분짜
리 문제인 경우는 답안 구상에 5분, 답안작성에 20분을 배분한다.


4. 이번 기회보다는 다음기회가 더 좋을 수 있다.

필기시험을 합격하면 지금까지 시험 준비하였던 교재와 부교재를 정리하고 면접시험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지만 이는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응시자는 불합격이라는 통지를 받는다. 이 순간을 빨
리 겪고 다음 기회를 노려야 한다. 실패의 웅덩이에서 한 달을 보내는 것보다는 재기의 무장을 하
고 한 달을 먼저 시작하는 것이 올바른 자세이다. 그러므로 이번 시험의 경향을 분석하고, 실패의
원인과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자신의 취약한 부분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면서 새롭게 시작하는 자
만이 이번의 슬픔을 영광으로 바꿀 수 있다.

불합격은 기회가 한 번 더 증가한 것 외에는 결단코 아무것도 아니다.

[면접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5.asp

필기시험을 합격하면 수검원서를 접수한 지방사무소에서 실기시험응시원서를 제출하고 면접일정과
장소를 통보 받는다. 실기시험 준비서류는 수험표, 신분증, 경력증명서,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
원), 자격증 사본(기사), 전형료이다. 제출 서류들은 지방사무소에 비치되어 있다. 경력증명서의
경우는 회사의 경력증명이 요구되므로 사전에 준비하여 시간에 쫓기는 경우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1. 경력심사

정보 처리 실무의 현장 경험도 기술사 자격 검정에서는 중요한 평가 대상이다. 경력 증명서는 관
리공단에서 합격예정자에게 발행하는 법정 서식으로서 공공기관에서 발급하는 고유서식도 유효하
지만 가급적이면 관리공단이 제공하는 법정 서식에 작성한 '경력(재직)증명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력증명의 중요한 기재사항은 재직기간(경력기간), 소속 및 직위, 담당하였던 업무
내용 등을 기재하되, 담당업무 내용이 기술사 응시자격과 동일한 직종에서 기술업무에 종사한 경
력인지, 자격 종목에 속하는 기술업무에 종사한 경력인지, 자격 종목에 속하지 아니하는 다른 기
술 분야에서 기술 업무에 종사한 경력인지의 여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간
단 명료하게 기재하여야 한다.

대학원 이수는 실무에 종사한 경력으로 인정하는 대학원의 과정 및 전공학과명, 수료 기간 등이
명시된 수료 증명서 또는 학위 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대학 이상의 조교경력자는 경력 증명원
을 첨부하여야 경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기술사 검정시 경력에 대한 사항은 2장을 참조한다.

가. 경력증명원 작성시 유의사항

한 회사에서만 계속 근무한 경우에 단 한 줄로 경력사항기술을 기술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중간 중간에 프로젝트에 참여 했다면 그 사항을 기입하고, 진급이 있었다면 진급
사항을 기입하는 것도 좋다. 더욱이 부서나 역할이 바뀌었다면 그 사항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구
술시험(면접)에서는 경력증명원에 기재되어 있는 활동들을 가지고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
므로 단순히 어느 회사에서 무슨 직무를 몇년간 했다는 것은 자신의 경력에 대하여 면접위원의 감
점 요인을 만들 여지가 있는 것이다. 기간이 몇개월이 안되더라도 주요 시스템 개발경력을 상세히
적는 것이 면접 시 좋은 인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소한 문제지만 내용을 적을 시에는 신중하
게 적어야 하며 만약 정정 시에는 몇 장 더 받아온 증명서에 다시 적을 수 있도록 한다.


2. 면접 시험

면접 시험은 기술사 자격취득을 위한 최종 관문이며 또한 엄연한 실기 시험이다. 이 시험을 통과
하여야만 기술사로서의 호칭을 부여 받는다. 면접시험은 준비가 필요한 시험으로 준비 없이 들어
가서 엉뚱한 대답을 하고 당황하여 다음 기회로 합격이 보류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
다.

가. 면접 시험 준비

자신의 서브노트를 가지고 대화식으로 논리전개를 해보는 연습이 중요하다. 예상 질문을 추려내어
스스로 대답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보고 충분히 연습한 다음 면접 시험에 응해야 할 것이
다. 보통 자신이 본 필기 시험의 문제들과 유사한 질문이 나오는데 이것은 필기시험에서 작성한
내용에 대하여 본인의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인지를 알아보려는 의도라는 설명도 있다.

나. 면접 현장

면접 장소는 산업인력관리공단 강단에서 실시되는 데 다른 분야의 기술사들과 함께 치루어지고 오
전반과 오후반으로 나뉘어서 실시된다. 당일 면접에는 보통 30분전에 도착하여 대기실에서 기다린
다. 진행자의 설명이 있고 신분확인을 하기 위하여 신분증을 준비하여 면접장에 들어갈 때 진행자
의 확인을 받는다. 면접위원은 2명으로 기술사 1명과 교수 1명이며 이들은 번갈아 질문하는데 면
접점수는 각각 채점한다. 면접소요시간은 20~30분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10분부터 50분까지 다양하
게 면접이 진행된다.

다. 면접시험의 메커니즘

1) 면접의 목적

필기시험합격자로서의 기술력을 검정하고 기술사 자격취득의 타당성을 검증

2) 면접위원의 관점

품위보전, 직무개발, 능력향상, 가치창출, 컨설팅 능력, 제도발전에 기여

3) 면접 시의 자세

- 신(身)
외모 중에서 중요한 것은 눈빛이며 자신의 외양을 품위있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언(言)
말씨가 좋아야 하면 정확한 발음과 어울리는 어휘를 적절히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 판(判)
판단능력을 가름해보는 것으로 두 분의 면접위원이 상이한 주제를 연달아 물어보고 피면접자가 어
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본다. 쉬운 질문도 답변은 조리있게 또 전문가의 소양을 바탕으로 한 참신
하고 논리적인 표현으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하며 특정 질문의 경우 추상화 수준에 맞추어 높은 수
준의 대답을 하고 한 단계 더 깊은 다음 단계의 내용을 답하는 것이 좋다.

- 서(書)
면접시험 원서에 자필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응시원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표3-16. 면접 합격율>

분 야내 용
정보처리부문(37~63회)

278명 필기합격예정자 중 273명 최종합격
(경력미달로 필기합격취소자 4명)
종목당 1명/10명에 1명 정도 또는 그 이상 합격보류

정보통신부문 (48~63회)38명 필기합격예정자 중 5명 최종 합격
연속 3회 보류된 경우도 있음.


라. 면접시험의 주요 질문들

면접에서 나오는 질문은 면접 대상자들의 경력, 나이, 회사 등에 따라 다양하게 질문 하므로 표준
적인 질문 유형을 예상하는 것은 힘든 일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서는
평소에 비하는 것이 좋다.

1) 주변 환경에 대한 질문

신상(혈연,지연,학연은 제외) 및 응시 동기 등에 대해서 질문하고, 면접 종료 싯점에 기술사가 된
다면 비전과 같은 일반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예)기술사가 되시면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활동하고 싶습니까?

2) 경력(산업의 백그라운드)에 대한 질문

소속부서 또는 팀(기능, 규모, 구성, 피면접자의 역할), 실무 경험 유무, 수행 프로젝트 관련하여
규모, 본인의 역할, 관련기술요소 설명, 프로젝트 평가, 소감 등을 질문한다.

예)자신이 수행한 프로젝트중에서 가장 자신있는 업무에 대해 특징, 규모,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짧
게 설명해 주세요.

3) 산업계 기술적 이슈 및 관심 사항에 대한 질문

소프트웨어 공학에 대한 기본지식, 이슈가 되는 기술에 관한 비교 및 장단점과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한 판단 및 견해 제시 등의 질문을 하게 된다.

예)EJB와 C#을 비교해주십시오.
예)시험의 종류와 절차 그리고 문제점을 설명해주십시오.
예)e-biz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본인의 경험으로 근거하여 설명해주십시오.

마. 면접시험에서 피면접자의 presentation 핵심

1) 프리젠테이션은 대답을 포장하는 것

무엇을 듣기 원하는지를 면접위원의 질문의도를 명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불명확하면 되물어서 확
인한다.

2) 표정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표정으로 임해야 한다.

3) 대답의 구성

추상화 수준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하향식 대답을 하며 면접 위원들이 판단할 수 있는 논
리체계를 갖추는 것으로 마치 컨설팅을 하는 것처럼 대답을 구성한다.

4) 용어선정

표준용어, 공인된 용어, 영어보단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5) 엔지니어링 지향적

이론적 입장을 대변하기보다는 실무적인 경험 중심으로 답변하는 것이 좋다.

바. 면접시험 합격 CSF(Critical Success Factor)

면접의 CSF는 충분한 면접 경험, 적정한 경력의 소유, 해당 분야의 풍부한 지식, 해당 분야에 대
한 비전, 표현력, 매너 및 좋은 첫인상이다.

1) 충분한 경험

면접은 경력에 대한 구술 시험을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면접시에 경력 사항 및 경험에 대해서 집
중적으로 물어본다. 자신이 아는 것이라도 대답을 잘 못하면 감점 요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면접 시에 침착하게 질문의 요지를 파악하고 그에 합당한 대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적정한 경력

너무 경력이 미천하면 학술적인 질문을 받게 되는데, 이런 경우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앞에
서 망신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면접 위원의 입장에서도 경력에 대해서 물어볼 것이 별로 없
다면, 당연히 기술적 관심 사항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물어 볼 것이 뻔한 이치이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의 적정한 경력을 소유한 사람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3) 해당 분야의 지식

면접 시에 훌륭한 표현력 및 매너로 고객에게 컨설팅 하듯이 자신의 풍부한 지식을 표현하면 바로
합격선에 들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기 시험 합격 후에도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4) 해당 산업계에서의 비전

해당 산업에 대한 기술사로써의 포부와 희망을 면접 위원에게 전달한다면, 면접 위원에게 좋은 인
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고, 가점 요인이 될 것이다.

5) 수준 이상의 표현력 및 매너

이제 기술사로써 전문가 집단에 들어섰으므로 훌륭한 품위와 매너를 면접위원에게 보여 주고 물어
보는 질문에 컨설팅 하듯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해야 한다.

6) 첫인상

면접 위원에게 공손하고 예절 바른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면 산뜻한 정
장 차림으로 스마트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좋은 인상을 심어 준다면 가점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합격 후 단계]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6.asp

기술사 최종합격을 인터넷에서 확인하고 나면 만감이 순간 교체한다. 지난날의 고생이 눈 앞을 지
나가고 기술사에 붙었다는 기쁨이 걸려오는 축하전화와 쏟아지는 메일을 보면서 직접 확인하게 된
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기술사로서의 사회적 역할에 최선을 다하기 위하여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스치는데 이것은 시간이 지나갈수록 주위에서 거는 기대와 격려와 비례하여 점점
커진다. 자격취득이 목적이었는데 이것으로 끝나는것이 아니며 새롭게 시작하여야 한다는 점을 인
식하여야 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에서 신입 기술사를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마치면 협회에서 수행하고 있는
각종 위원회에 등록을 하며 활동을 하게 된다. 본인 스스로 기술사 사무소를 열어서 개업을 하게
되거나 정부의 심의위원회, 한국 전산원의 감리활동 참여 등을 활발히 하게 되며 회사에서도 나름
대로의 역할이 새로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러한 활동은 단지 자격증을 확보함으로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기술자 자격제도는 한 번 취득하면 영구히 인정되는 제도이다. 따라서 자격증 취득후 유지를 위한
나름대로의 노력이 묵시적으로 요구된다. 기술사로서의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시험공부와는
다른 차원의 질적인 공부가 요구되며 이는 자신만이 직접 만들어가야 하는 길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자신의 전문분야를 선정한다. 해당 분야에 대한 모임이나 site에 등록을 하고
활동을 한다. 관련 지식을 확보하고 보다 깊이 있는 공부를 하며 실무 경험과의 연관성을 맺어서
전문가적 자질을 확보한다.

둘째, 정보처리 분야의 기술 습득을 위한 방안을 세운다. 신문이나 인터넷, 학회지 등을 지속적으
로 구독하고 스크랩을 하면서 새로운 기술이나 몰랐던 기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지속적으로 넓혀
나간다.

셋째, 자신의 경험을 전파한다. 정보처리분야의 선두에 서있는 기술사로서 한국의 정보처리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길을 만들어야 하는 책무가 있다. 한번도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해야 하
는 의무가 있으므로 열심히 살아야 함을 감히 제언 드리고자 한다.

[유용한 자료들]

http://www.giscampus.co.kr/02_it/it_chap3_para7.asp

가. 논술대비방안

논술에 있어서 지식은 재료이고 논술력은 자동화기계장치로 비유할 수 있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
들이 단순한 재료모음에만 급급해 있는 것도 현실이다. 아무리 좋은 재료를 많이 갖추었다 하더라
도 훌륭한 기계장치가 없다면 보잘 것 없는 제품이 나올 것이 뻔한 이치이다. 또한 비용과 시간도
훨씬 많이 소모될 것이다. 즉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므로 논술에 대한 준비도 철저히 하여야 한
다.

다음은 논술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1) 문제의식을 갖자

평소에 어떤 주제에 대하여 정리시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같이 정리해 놓는 습
관을 갖는다. 어떤 주제의 핵심을 알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문제를 대할 때, 기능이나 요소에 매달리지 말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대하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반화하여 문제를 대한다. 일상의 일반적인 삶에 어떤 활용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개조식의 서술보다는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서술이 바람직하다.

3) 상상을 하되, 논리적으로 해야 한다.

4) 무슨 말을 하는지, 왜 하는지를 알고 써야 한다.

이 기술이 우리 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 있어
야 한다.

5) 논술을 잘 하려면 인접분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집중해서 준비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6) OBS들을 나의 실제업무에 적용하고(이미지나 도표로) 문제점이나 고려사항을 요약해둔다.

7) 중요 주제를 정리할 때 나의 생각도 같이 정리한다.

8) 논술문에 적합하지 않은 표현들

(1) '~것이다','~ㄴ 것 같다','~ㄹ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표현은 불확실한 바를 나타낼 때 쓰인다.

<표 3-17 논술형 표현의 좋은 사례 및 나쁜 사례 I>

나 쁜 예좋 은 예
정보처리기술사의 시험에 합격하는 길은
논술을 잘 하는데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생각이 시험공부에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
정보처리기술사의 시험에 합격하는 길은
논술을 잘 하는데 있다.
논술이 너무 어렵다는 생각에 잡혀 있다.
이러한 생각이 시험공부에 해를 끼친다.


(2) '것'

것'은 사물의 추상적 관념만을 드러내어 그 사물의 이름 대신 쓰는 말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실질
명사를 써야 할 곳에 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의'

조사 '~의'는 의미가 아주 다양하므로 이를 남용할 경우 문맥의미가 모호해 질 수도 있다. 조사 '
~의'는 그 뜻을 풀어 쓰는 것이 좋다.

<표 3-18 논술형 표현의 좋은 사례 및 나쁜 사례 II>
나 쁜 예좋 은 예
답안의 개요의 정의부분은 ~답안에서 개요의 정의부분은 ~


(4) '나는 ~ 생각한다'

논술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다.

나. 실패하는 방법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임을 누구나가 안다. 실패사례를 살펴보고 자신의 수험방법을 비교하여 타산
지석의 지혜를 삼을 필요가 있다.

1) 실패사례 A.

- 관련서적을 모두 읽어서 내 것으로 한다.
- 무조건 암기한다.
- 매우 넓게 세분하고 관련자료를 모두 취합한다.
- key word를 준비하지 않는다.
- 완전히 알고 난 후에야 서브노트를 작성한다.
- 나의 생각보다 책이나, 인터넷에 있는 타인의 주관을 적는다.
- 시험분야를 중도에 바꾸지 않는다. (조직응용에서 정보관리로 바꾸는 경우)

2) 실패사례 B

- 촉박한 시험계획
- 반복 학습노력 부족
- 요약된 자료만을 통한 수험준비
- 답안작성시 제목과 내용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 답안작성시 키워드 부족, 시간배분에 실패
- 확신을 가지지 못한 지식(대충 훓어봄)
- 내가 만든 요약집을 가지지 못함(남의 자료만으로 공부)
- 잘 알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평이하게 기술하여 "특화"하지 못함.
- 1교시에 시간배분을 못해 알고 있는 문제를 기술못함
- 수험준비의 질을 높이지 못함.

1교시

다음 문제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10)

1. VoIP 서비스 제공망과 구성방식을 약술하시오.

2. RFID 이용한 온라인이체통신망 구성방식을 약술하시오.

3. 유비쿼터스 도시정보통신망 (U-City) 구성의 기본조건을

약술하시오.

4.주파수공용통신(TRS) 방식의 원리와 특징을 간단히 쓰시오.

5. 레이크(Rake) 수신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6. Digital 통신에서 Interleaving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7. TV 수신용 평면형 안테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차세대 DVD 부각되고 있는 Blue-Ray DVD HD-DVD

비교 설명하시오.

9. 지상파 DMB 전국망 구성을 위한 SFN(Single Frequency

Network) MFN(Multi-Frequency Network) 방식을

비교 설명하시오.

10. 디지털 TV 수상기의 종류를 들고 비교 설명하시오.

11. IP-TV 탄생 배경과 특징, 주요 이슈, 동향을 간략하게

기술하시오.

12.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에 대해

약술하시오.

13.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서비스 카테고리

5가지를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2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 25)

1. 지능교환망(AIN) 지능화 터미널의 기능분담에 대하여 망구성,

서비스 제공의 관점에서 기술하시오.

2.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다원접속(Multiple Access)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위성의 자세 안정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대하여 설명하시오.

5. TV방송을 통한 전자상거래(T-Commerce)흐름 구성도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6.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3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 25)

1. 전화번호 변환체계(ENUM) 무선전화 인터넷 번호체계(WINC)

표준화 동향과 체계의 통합제공 전망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 성층권 비행체 통신시스템 (HAPS) 대하여 설명하고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3.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 이용한 장거리 무중계

전송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호의 필요성과 보호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디지털 변조 방식을 종류별로 비교 설명하시오.

6. 미래 이동통신 기술과 전망을 기술하시오.

4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 25)

1. 위치기반 서비스 (LBS) 이용한 텔레메틱스 서비스와 조난

방재통신망 구성에 응용하는 방안을 기술하시오.

2. 이동체에서 위성과 통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안테나의 마운트

(mount) 방식과 추적(tracing)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디지털 홈에서의 TPS (Triple Play Service) 구현을 위한

엑세스망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5. IP기반 통신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 보장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가입자망 기술 진화방향에 대해 기술하시오.

1교시

다음 문제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 10)

  1. 틸팅(Tilting) 안테나의 효과
  2. Weber-Fechner 법칙
  3.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4. SGSN
  5. 무선 PAN
  6. SIGTRAN
  7. 맥스웰 파동방정식
  8. MMS (Multi Mode Service)
  9. SFN (Single Frequency Network) / MFN (Multiple Frequency Network)
  1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설계과정
  11. 디지털 시스템의 수신레벨이 -130(dBm)이고 유효잡음 온도가 1600K였다.

3000(bps) 속도로 송신하는 링크의 Eb/No 계산하시오.

12. 디지털 중계기 구성시 고려할 사항

13. AON (Active Optical Network) PON(Passive Optical Network) 구축기술

2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 25)

1. 통신시스템 신호 에너지신호와 전력신호를 설명하시오.

2. 정보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변조기술이 수반되는데 변조를 해야 하는 이유를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3. IMS (IP Multimedia Subsystem) 주요 특징과 도입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체배기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동작원리를 설명하시오.

5. 통신접지의 목적과 장중파 안테나에서 사용되는 접지방법을 기술하시오.

6. 지상파 디지털 TV 송신소를 신규로 구축하기 위한 송신시스템 설계의 기본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 25)

1. IEEE 802.11 계열의 802.11b, 802.11a, 802.11g, 802.11n 등의 특징을 PHY 기술규격을

중심으로 비교 설명하시오.

2. Cognitive Radio 대하여

.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 적용되는 기술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 IEEE 802.22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상파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설명하고 전송방식, 표준화 현황

주파수대역 등을 설명하시오.

4. 차세대 인터넷 혁명으로 불리는 Web 2.0 기술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종합유선방송 전송설비에서 하향 •출력레벨 조정방법을 결선도를 그려서 설명하시오.

6. 이동통신에서 커버리지 확장에 사용하고 있는 CDMA 중계기를 종류별로 설명하시오.

4 교시

다음 문제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 25)

1. 이동휴대서비스와 관련하여 방송과 통신기반의 융합미디어기술에 대하여 각각 2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2. IP-TV Cable TV 기술적 특성과 서비스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스펙트럼 분석기 (Spectrum Analyzer) 개요, 기능, 특성과 용도를 설명하시오.

4. 정보통신공사의 설계 감리업무의 성격을 규정하고 최근의 시장동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차세대 통신망의 QoS 확보와 관련하여 IntServ (Intergrated Service)

DiffServ (Differential Service) 설명하시오.

6. Wibro 글로벌화 전략에 대하여 기술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나만의 장점을 찾을 것

이 세상에 태어났을 때에는 맑고 검은 눈동자를

가진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물 같은 모습이다.

세월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서 주위 사람들과 비교하게

된다. 누구보다 더 귀엽다거나 더 영리하다거나 더

똑똑하다는 식으로 늘 비교되는 나날이 이어진다.

어린 시절에도, 학교에서도, 사회에 나와서도, 한

순간이라도 비교되지 않은 때는 없다.

그런 상황에서 자기도 모르게 다른 사람과 비교된

모습만이 자신의 모습이라고 믿게 되어 분노하고

자만하여 눈물을 흘리고 침묵을 지킨다. 비교하고

싶어도 도저히 비교할 수 없는 순수한 자신만의

보물은 어디에 잃어버린 것일까?

비교하면서 나아가는 것은 진보를 위한 방법이

기도 하다. 그러나 절대 남과 비교할 수 없는

자신을 파악하고 자신만의 장점을 살리는 것도

진보를 낳는다.

갈팡질팡하지 않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하늘이 준 순수한 자신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 이루어질 것은 이루어진다. 中에서 >

성공에 반성을 더할 것

무슨 일이든

세 번 연속해서 성공하는 것은

정말 위험하다.

인간의 나약함이라고 해야 할까? 자만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안일함이라고 해야 할까?

세 연속 좋은 일이 생기면 인간은 자신을 과신

하게 된다. 자신이 대단한 존재라고 생각하게

되어 세상을 우습게 본다. 그 결과,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지른다.

그러므로 세 번 가운데 한 번은 실패하는 것이

좋다. 다른 사람들은 성공으로 보더라도 스스로

자신을 돌아봤을 때, 더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것 역시

실패다. 그런 경우에는 스스로 실패라고 인정해야

한다.

세 번 가운데 한 번은 실패지만

거기에서 새로운 자기반성을 얻어

두 번은 성공을 거둔다

그런 일이 되풀이되면 점차 좋아진다. 그것이

진정한 성공의 연속이다.

인간은 모두 나약함을 가지고 있다. 그 나약함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요하다.

< 이루어질 것은 이루어진다. 中에서 >

+ Recent posts